“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계(西溪)@유식 - 유식(柳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판(參判)을 지낸 유윤덕(柳潤德)의 아버지로,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인천 부사(仁川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계(西谿) - 방곡(坊谷)
경상도 함양(咸陽)에 있는 계곡 이름. 전라도 운봉(雲峯)의 팔량현(八良峴)에서 발원(發源)하며, 김종직(金宗直)이 서계(西谿)로 이름을 고침.
경상도>함양 , 지명>자연지명
-
서계선생집(西溪先生集) - 서계집(西溪集)@박세당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당(朴世堂)의 문집. 16권 8책. 목판본. 문인 이탄(李坦)ㆍ이덕수(李德壽)와 손자 박필기(朴弼基) 등이 편찬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계자(西溪子) - 선우추(鮮于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상시 전부(太常寺典簿)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음.
1246~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서계초수(西溪樵叟) - 박세당(朴世堂)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이조 참판 박정(朴炡)의 아들. 실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博物學)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하여 주자학(朱子學)을 비판함.
1629~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전라도>남원ㅣ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고(徐誥)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서고(西皐) - 유언술(兪彦述)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유복기(兪復基)의 아들. 직간(直諫)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703~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고(誓誥)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서고청(徐孤靑)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서관(墅觀) - 봉석주(奉石柱)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하음(河陰). 계유정난 때의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를 지냈으나, 탐욕스럽고 포악한 성품으로 여러 차례 탄핵을 받음.
?~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서교(西郊) - 송찬(宋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중종실록(中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진위사(陳慰使)와 진하사(進賀使)로 두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10~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서국(瑞國) - 안정(安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안처선(安處善)의 아들.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곤양(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으며, 특히 그림에 뛰어나 매화와 대나무를 잘 그렸음.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서국왕(西國王)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서궁(西宮) - 인목왕후(仁穆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1602년(선조 35)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617년(광해군 9)에 삭호(削號)당하고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호(復號)됨.
1584~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서귀(瑞龜)@한서귀 - 한서귀(韓瑞龜)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한승순(韓承舜)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협력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서귀(瑞龜) - 박서귀(朴瑞龜)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창도(朴昌道)의 아들로, 교수(敎授)를 역임함.
154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서균(徐勻) - 서균(徐鈞)
고려 성종(成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희(徐熙)의 증손(曾孫)으로,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등을 역임함.
1060~113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서김해(徐金海) - 서예원(徐禮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내고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왜적(倭敵)이 침입(侵入)하여 성(城)이 함락되면서 순절(殉節)함.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서나(徐那)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서나벌(徐那伐)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