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령(瑞寧) - 서산(瑞山)
충청남도 서북단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산시(瑞山市) 대산읍(大山邑) 일원에 해당함.
충청도>서산 , 지명>행정지명
-
서령군(瑞寧君)@유숙 - 유숙(柳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이 된 뒤 서령군(瑞寧君)에 봉해짐.
1324~136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덕산ㅣ전라도>영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령군(瑞寧君) - 유기(柳沂)@유후의아들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이방원(李芳遠)이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하고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하여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垢)ㆍ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ㆍ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정인홍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유숙 - 유숙(柳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이 된 뒤 서령군(瑞寧君)에 봉해짐.
1324~136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덕산ㅣ전라도>영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 - 유기(柳沂)@유후의아들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이방원(李芳遠)이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하고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하여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垢)ㆍ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ㆍ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유성간 - 유성간(柳成澗)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문신. 한림학사(翰林學士) 유순(柳淳)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서산유씨(瑞山柳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서로(瑞老) - 이귀수(李龜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서룡(瑞龍) - 남서룡(南瑞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양(英陽). 1522년(중종 1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주세붕(周世鵬)이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1496~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서릉군(西陵君)@한치례 - 한치례(韓致禮)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ㆍ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成宗)의 외숙.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문무를 겸비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서릉군(西陵君) - 이섬(李銛)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 - 한치례(韓致禮)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ㆍ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成宗)의 외숙.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문무를 겸비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서릉수(西陵守) - 이섬(李銛)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린(瑞鱗) - 반서린(潘瑞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반강(潘岡)의 아들로,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서린(瑞麟)@박서린 - 박서린(朴瑞麟)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된 박창도(朴昌道)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서린(瑞麟) - 공서린(孔瑞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생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교를 맺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투옥되었다가 풀려남.
148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서림(瑞琳) - 최서림(崔瑞琳)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통덕랑(通德郞) 최윤성(崔胤聖)의 아들이며 김집(金集)의 문인. 1662년(현종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공릉 참봉(恭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후진 교육에 힘씀.
1632~16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서림(西林) - 서천(舒川)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천군(舒川郡)은 조선시대의 서천ㆍ한산(韓山)ㆍ비인(庇仁)의 세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짐.
충청도>서천 , 지명>행정지명
-
서림정(西林正) - 이제(李怟)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맏아들인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만사(徐晩沙) - 서경우(徐景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서성(徐渻)의 아들로, 형조 판서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73~16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