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명도(西銘圖)@서명사천도 - 서명사천도(西銘事天圖)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인후(金麟厚)의 저서. 1557년(명종 12)에 저술되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전하지 않음.
15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서명산인(西溟散人)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모(西母) - 서왕모(西王母)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선녀. 《산해경(山海經)》에서는 곤륜산(崑崙山)에 사는, 사람 얼굴에 표범 꼬리와 호랑이 이빨을 가진 신인(神人)이라고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불사약(不死藥)을 가지고 있는 선녀로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서목(徐牧) - 서예원(徐禮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내고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왜적(倭敵)이 침입(侵入)하여 성(城)이 함락되면서 순절(殉節)함.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서문(瑞文)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서문중(徐文仲)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서미옹(胥靡翁)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반관계(西班官階) - 무산계(武散階)
고려와 조선시대 관원(官員)들의 위계 제도(位階制度)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탐라(耽羅)의 왕족, 여진(女眞)의 추장, 향리(鄕吏), 노병(老兵), 공장(工匠), 악인(樂人) 등에게, 조선시대에는 무반(武班)에게 각각 지급하던 관계(官階)임.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서백(恕伯) - 구충연(具忠淵)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징(具徵)의 아들로 도사(都事)ㆍ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서백(瑞伯) - 유몽사(柳夢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를 지낸 유탱(柳樘)의 아들로, 선공감 감역(繕工監監役)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선천(宣川)으로 양곡을 운송한 공로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38~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백(西伯)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서벌(徐伐)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서병(西屛) - 서취병산(西翠屛山)
경상북도 안동(安東)에 있는 산 이름. 도산(陶山)의 오른쪽에 있는 영지산(靈芝山)의 지류이며, 도산 왼쪽에는 청량산(淸涼山)의 지류인 동취병산(東翠屛山)이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서복재(徐復齋)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서봉(西峯) - 유우(柳藕)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스승 김굉필(金宏弼)이 죽자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과 교육에 전심함. 《주역(周易)》에 정밀하고, 천문ㆍ복서(卜筮)ㆍ음률ㆍ서화에도 정통함.
147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서부(西阜) - 송귀수(宋龜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세량(宋世良)의 아들로, 효도와 우애가 깊었으며, 음서(蔭敍)로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 등을 역임함.
1497~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서부부군(西阜府君) - 송귀수(宋龜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세량(宋世良)의 아들로, 효도와 우애가 깊었으며, 음서(蔭敍)로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 등을 역임함.
1497~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서불(徐巿) - 서복(徐福)
중국 진(秦) 나라의 방사(方士). 진시황(秦始皇)의 명을 받고 삼신산(三神山)의 불사약(不死藥)을 구하러 떠나 일본으로 갔다고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서사원(徐斯遠) - 서문경(徐文卿)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인. 주희(朱熹)의 문하생으로, 조번(趙蕃)ㆍ한표(韓淲)와 명성을 나란히 하였고, 저서로 《소추시집(蕭秋詩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산(西山)@수양산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