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소문(西小門) - 소의문(昭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숭례문(崇禮門)과 돈의문(敦義門) 사이, 즉 지금의 서소문동 큰길에 있던 서남간문(西南間門)으로, 일반적인 통행로이면서 광희문(光熙門)과 함께 시신(屍身)을 성 밖으로 운반하는 통로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서수(犀首) - 공손연(公孫衍)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대부. 장의(張儀)와 함께 여러 제후국을 유세(遊說)함. 일찍이 서수(犀首)를 지내 이것이 그의 이칭이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서수헌(逝水軒) - 김응두(金應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고부 군수(古阜郡守)를 역임하면서 민폐를 제거하고 봉공(奉公)에 힘써 포상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서숙(序叔) - 성륜(成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세정(成世貞)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와 편당(偏黨)을 짓는다는 세평(世評)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서술(西述) - 서악(西岳)
경상도 경주(慶州)의 서쪽에 있는 산의 신라(新羅) 때 명칭.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서씨(西氏) - 서시(西施)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미인.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현혹하기 위해 바친 두 미인 중의 하나로, 부차는 그의 미모에 사로잡혀 정사를 게을리하다가 마침내 월 나라에 패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서악(西嶽) - 화산(華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화음현(華陰縣)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서악(西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2,437m. 중앙의 옥녀봉(玉女峰), 동쪽의 조양봉(朝陽峰), 서쪽의 연화봉(蓮花峰), 남쪽의 낙안봉(落雁峰), 북쪽의 오운봉(五雲峰) 등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리서 보면 연꽃 같아서 화산(華山)이라고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서악산(西嶽山) - 서악(西岳)
경상도 경주(慶州)의 서쪽에 있는 산의 신라(新羅) 때 명칭.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서악재(徐樂齋) - 서사원(徐思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달성(達城).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주자학(朱子學) 및 이황(李滉)의 문집을 깊이 연구하고 후진양성에 힘씀.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악정사(西岳精舍) - 서악서원(西岳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에 경상도 경주(慶州)에 건립한 서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시 존속한 47개 서원 가운데 하나. 설총(薛聰)ㆍ김유신(金庾信)ㆍ최치원(崔致遠)을 배향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서암(西巖) - 태두남(太斗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순(永順). 담론(談論)을 잘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종부시 정(宗簿寺正)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좌천됨.
1486~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서암(西巖)@권두굉 - 권두굉(權斗紘)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유(權濡)의 아들이자, 창설재(蒼雪齋) 권두경(權斗經)의 아우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郎)을 지낸 권만(權萬)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668~174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암(西巖)@박하징 - 박하징(朴河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충순위 부사직(忠順衛副司直) 박승원(朴承元)의 아들이며, 박하담(朴河淡)과 예조 정랑(禮曹正郞) 박하청(朴河淸)의 아우.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148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애(西厓)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애(西涯) - 이동양(李東陽)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40여 년 동안 조정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당(盛唐)의 시풍(詩風)을 추구하여 당시(唐詩) 부흥 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함.
1447~151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애상공(西厓相公)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애상국(西厓相國)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애선생문집(西厓先生文集) - 서애집(西厓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유성룡(柳成龍)의 문집. 1633년(인조 11) 합천 군수(陜川郡守)로 있던 아들 유진(柳袗)이 해인사(海印寺)에서 판각, 인쇄하여 원집(原集) 20권, 별집(別集) 4권의 목판본으로 간행함.
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문헌>서명
-
서야(徐耶)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서야벌(徐耶伐)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