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한계미 - 한계미(韓繼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공을 세워 세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1~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한상경 - 한상경(韓尙敬)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셋째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360~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한방신 - 한방신(韓方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악(韓渥)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으나, 후에 아들 한안(韓安)의 시역(弑逆)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피살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서원송씨(西原宋氏) - 청주송씨(淸州宋氏)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서원군(西原君) 송훤(宋暄)의 아버지이자,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청주군(淸州君)에 봉해진 송유충(宋有忠)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집단>성씨
-
서원수(西原守) - 이감(李堪)@이강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증손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맏아들.
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원윤(瑞原尹) - 이친(李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차남으로,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이희(李暿)의 딸과 혼인함.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서원직(徐元直) - 서서(徐庶)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위(魏) 나라의 책사(策士). 처음에는 유비(劉備)를 섬기다가 조조(曹操)에 의해 어미가 볼모가 되자, 대신 제갈량(諸葛亮)을 천거하고 조조에게 귀속(歸屬)했으나 조조를 위해 지모(智謀)를 발휘하지는 않음.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원한씨(西原韓氏) - 청주한씨(淸州韓氏)
기자(箕子)의 후예인 우량(友諒)의 원손(遠孫)으로, 고려 때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에 녹훈된 한난(韓蘭)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집단>성씨
-
서유(徐孺) - 서치(徐穉)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고사(高士). 예장 태수(豫章太守) 진번(陳蕃)이 빈객을 접대하는 일이 없었으나, 오직 그를 위해 하나의 의자를 마련하여 그가 오면 내어놓고 떠난 후에 다시 걸어두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97~16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서응(瑞膺) - 윤봉구(尹鳳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의 문인(門人).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1681~17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자(徐子) - 서응(徐凝)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백거이(白居易)ㆍ한유(韓愈)와 교유하였으며, 그의 시(詩) 〈여산폭포(廬山瀑布)〉가 백거이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져 악평을 받는 곤욕을 치름.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자(西子) - 서시(西施)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미인.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현혹하기 위해 바친 두 미인 중의 하나로, 부차는 그의 미모에 사로잡혀 정사를 게을리하다가 마침내 월 나라에 패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서자융(徐子融) - 서소연(徐昭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더불어 성리설(性理說)에 대해 논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장(恕長) - 이서장(李恕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한성부윤(漢城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장강(書狀江) - 고진강(古津江)
평안북도 의주(義州) 동남부 용천평야(龍川平野)를 서류(西流)하여 압록강(鴨綠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서재(恕齋) - 한천(韓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도첨의사사(都僉議司事)를 지낸 한대순(韓大淳)의 아들로, 고려에서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재(西齋) - 송간(宋侃)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남방을 순시하고 돌아오다가 단종(端宗)이 영월(寧越)에 안치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영월로 가서 복명(復命)한 후 낙향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서적(西賊) - 홍경래(洪景來)
조선 순조(純祖) 때의 농민군 지도자. 본관은 남양(南陽). 1811년(순조 11)에 삼정(三政)의 문란 등 사회적 모순에 저항하여 평안도 가산(嘉山)에서 농민반란을 일으켰으나, 4개월 만에 실패하고 정주성(定州城)에서 전사함.
1771~1812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기술인>지관ㅣ인명>기타인명>역적
-
서적(西赤) - 공서적(公西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사람. 공자(孔子)의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제사(祭祀)와 빈객(賓客)의 예에 뛰어남.
B.C.5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전찬소(書傳纂疏) - 상서집전찬소(尙書集傳纂疏)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진력(陳櫟)의 저서.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