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절(瑞節) - 황서절(黃瑞節)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길안부(吉安府) 안복현(安福縣) 사람으로 벼슬에 나가지 않고 성리학에 매진하여 《주자성서(朱子成書)》를 편찬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조대(徐措大) - 서우(徐祐)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 우리 나라에 표류해 왔는데 김인후(金麟厚)가 그에 관해 지은 시가 《하서집(河西集)》에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서종(瑞種) - 이서종(李瑞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아들이자,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이보림(李寶林)의 아버지. 봉상대부(奉常大夫)로 종부시 부령(宗簿寺副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서주(敍疇) - 홍서주(洪敍疇)
조선 중중(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좌찬성(左贊成) 홍숙(洪淑)의 아들로, 복성군(福城君)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김안로(金安老)가 사사된 뒤 풀려나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냄.
149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서주(瑞州) - 서산(瑞山)
충청남도 서북단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산시(瑞山市) 대산읍(大山邑) 일원에 해당함.
충청도>서산 , 지명>행정지명
-
서주(舒州)@중국 - 안경(安慶)
중국 안휘성(安徽省) 남서부에 있는 도시 이름. 양자강(揚子江) 연안에 위치하여 예로부터 상업이 발달하였으며, 차(茶)와 임산물(林産物)의 집산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서주(舒州) - 서천(舒川)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천군(舒川郡)은 조선시대의 서천ㆍ한산(韓山)ㆍ비인(庇仁)의 세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짐.
충청도>서천 , 지명>행정지명
-
서주(西州)@서천 - 서천(舒川)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천군(舒川郡)은 조선시대의 서천ㆍ한산(韓山)ㆍ비인(庇仁)의 세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짐.
충청도>서천 , 지명>행정지명
-
서주(西州)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서주자기(徐州子期) - 전기(田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수. 월(越)ㆍ한(韓) 나라에 정벌하러 온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위 나라 태자를 사로잡아 공을 세움. 재상 추기(鄒忌)와의 불화로 초(楚) 나라로 달아났다가 선왕(宣王)이 즉위하자 제 나라로 돌아와 복직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서주정씨(瑞州鄭氏) - 서산정씨(瑞山鄭氏)
중국 송(宋) 나라 때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을 지내다가 송 나라가 망하자 고려(高麗)로 망명한 정신보(鄭臣保)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집단>성씨
-
서중(瑞仲) - 채응상(蔡應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천(仁川). 채인손(蔡仁孫)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김준(金濬)ㆍ박승임(朴承任)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서중(舒仲) - 이대신(李大伸)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성(杞城).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묘지명이 전함.
1510~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서중(西仲) - 뇌사(雷思)
중국 금(金) 나라의 문신ㆍ학자. 대리시 경(大理寺卿)ㆍ동지북경전운사사(同知北京轉運使事)를 지내고, 저술로 《역해(易解)》가 있음.
중국>금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지(敍之) - 권오륜(權五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예천(醴泉).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처형된 권오복(權五福)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서지고(徐知誥)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서진산(棲鎭山) - 선석산(禪石山)
경상북도 성주(星州)에 있는 서진산(棲鎭山)의 옛 이름. 세종대왕(世宗大王)의 아들인 수양(首陽)ㆍ안평(安平)ㆍ금성(錦城)대군 등 18명 왕자들의 태실(胎室)과 단종(端宗)의 태실이 있음.
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서집전(書集傳) - 서경집전(書經集傳)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채침(蔡沈)이 편찬한 《상서(尙書)》의 주해서(註解書). 6권. 저자가 스승인 주희(朱熹)의 명을 받아 편찬하였으며, 1313년에 과거(科擧)의 기본서로 정해져 세상에 널리 유통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창곡(徐昌縠) - 서정경(徐禎卿)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한위(漢魏)와 성당(盛唐)의 시풍을 이어 고아(古雅)한 풍격의 시를 지음. 명 나라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1479~151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창수(西昌守) - 이용(李墉)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증손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셋째 아들.
157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