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포(西浦) - 김만중(金萬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소설가.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曾孫)으로,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냄.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구운몽(九雲夢)》ㆍ《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등을 저술함.
1637~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포선생집(西浦先生集) - 서포집(西浦集)@김만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만중(金萬重)의 문집. 1702년(숙종 28) 의성 현령(義城縣令)으로 있던 아들 김진화(金鎭華)가 10권 2책 목판으로 간행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서포옹(西浦翁) - 김만중(金萬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소설가.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曾孫)으로,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냄.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구운몽(九雲夢)》ㆍ《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등을 저술함.
1637~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포일인(西浦逸人) - 윤광계(尹光啓)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으로, 윤화중(尹和中)의 아들이고, 조헌(趙憲)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귤옥집(橘屋集)》이 있음.
15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서하(捿霞) - 심운(沈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한 심언광(沈彥光)의 아들로 선교랑(宣敎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서하(棲霞)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서하(西河)@이민서 - 이민서(李敏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이후여(李厚輿)에게 출계함.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서하집(西河集)》등이 있음.
1633~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하(西河) - 임춘(林椿)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예천임씨(醴泉林氏)의 시조. 무신정변(武臣政變) 때 온 집안이 화를 당해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냄.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문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서하거사(棲霞居士)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서하군(西河君)@임자송 - 임자송(任子松)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어사(御史) 임주(任澍)의 아들로, 1342년(충혜왕 복위 3)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한 공으로 1등공신의 호를 받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서하군(西河君) - 임원준(任元濬)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經史)와 의학(醫學)에도 정통했음.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아들 임사홍(任士洪)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
1423~150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하노씨(西河盧氏) - 풍천노씨(豊川盧氏)
중국 당(唐) 나라 때의 한림학사(翰林學士) 노수(盧穗)를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초에 풍천백(豐川伯)에 봉해진 그의 셋째 아들 노지(盧址)를 득관조(得貫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집단>성씨
-
서하당(棲霞堂)@김성원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서하부원군(西河府院君) - 임자송(任子松)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어사(御史) 임주(任澍)의 아들로, 1342년(충혜왕 복위 3)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한 공으로 1등공신의 호를 받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서하선생집(西河先生集) - 서하집(西河集)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인 임춘(林椿)의 문집. 1222년(고종 9) 최우(崔瑀)가 서경(西京)의 제학원(諸學院)에서 목판(木板)으로 간행함.
122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문헌>서명
-
서하옹(棲霞翁) - 조운흘(趙云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인복(李仁復)의 문인으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2등공신이 되고, 조선 개국 후 강릉 부사(江陵府使)로 제수됨.
1332~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하임씨(西河任氏) - 풍천임씨(豐川任氏)
중국 소흥부(紹興府) 자계현(慈溪縣) 사람으로,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은자광록대부(銀紫光祿大夫)에 추증된 임온(任溫)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황해도>풍천 , 인명>집단>성씨
-
서하주인(棲霞主人)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서하후(西河侯) - 도간(陶侃)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장군. 도잠(陶潛)의 증조부. 명제(明帝) 때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으로 왕돈(王敦)의 반란ㆍ소준(蘇峻)의 변란을 평정해 많은 공을 세우고, 벼슬이 시중태위(侍中太尉)에 이름.
257~33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서학장(徐學長)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