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한서(西漢書) - 한서(漢書)
중국 후한(後漢)의 반고(班固)가 기전체(紀傳體)로 엮은 전한(前漢)의 정사(正史). 120권. 고조(高祖)부터 왕망(王莽)까지 230년간의 역사 기록.
82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서함양(徐咸陽) - 서극일(徐克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으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판사(判事) 등을 지냄.
?~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서해(西海)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서행록(西行錄) - 서정록(西征錄)@김기종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기종(金起宗)이 인조(仁祖) 때 일어난 이괄(李适)의 난(亂)의 평정(平定) 과정을 기록한 책.
162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현(舒玄) - 김서현(金舒玄)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의 귀족ㆍ장군. 김유신(金庾信)의 아버지. 629년(진평왕 51)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충청북도 청원)을 함락시킴.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서형(西兄) - 서악(西岳)
경상도 경주(慶州)의 서쪽에 있는 산의 신라(新羅) 때 명칭.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서호(西湖)@석담 - 석담(石潭)
황해도 해주(海州) 중앙부에 있는 명승지. 경치가 매우 뛰어나며, 이이(李珥)가 이곳을 배경으로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를 지은 이후로 더욱 유명해짐. 지금의 황해남도 벽성군(碧城郡)에 속함.
황해도>해주 , 지명>자연지명
-
서호(西湖)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호(西湖)@임포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서호(西湖)@충청도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서호산인(西湖山人) - 유기창(兪起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나, 좌의정 성준(成俊)이 연산군의 난정을 극간(極諫)하다 교살될 때 그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석방되어 비인현(庇仁縣)에 은거함.
1437~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무신
-
서호주인(西湖主人) - 이총(李摠)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이며, 남효온(南孝溫)의 사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서호처사(西湖處士)@허강 - 허강(許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허자(許磁)의 아들로, 정작(鄭碏)ㆍ이지함(李之菡)ㆍ양사언(楊士彦) 등과 교계(交契)가 깊었음.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조부.
1520~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
-
서호처사(西湖處士)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서호포선(西湖逋仙)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서홍(瑞鴻)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화(西火) - 영산(靈山)
경상도 북부 중앙에 위치한 지명. 본래 독립된 군(郡)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창녕(昌寧)에 속하게 됨. 진산(鎭山)으로 영취산(靈鷲山)이 있음.
경상도>영산 , 지명>행정지명
-
서화(西華) - 송(宋)
중국의 통일 왕조. 조광윤(趙光胤)이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국가. 개봉(開封)에 도읍했던 북송(北宋) 시대와 정강(靖康)의 변(變) 때 임안(臨安)으로 천도한 이후의 남송(南宋) 시대로 구분됨.
960~1277 중국>송 , 중국 , 시간>국명
-
서화담(徐花潭)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서화담문집(徐花潭文集) - 화담집(花潭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서경덕(徐敬德)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명종(明宗)~선조(宣祖) 연간에 박민헌(朴民獻)ㆍ허엽(許曄) 등이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