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석곡(石谷) - 이담(李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해수(李海壽)의 증손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석곡(石谷)의 옥사에 연루되어 삼수(三水)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석관(碩寬) - 이석관(李碩寬)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 예안 현감(禮安縣監)을 지냈는데, 당시 허목(許穆)에게 조목(趙穆)의 《월천집(月川集)》초고(草稿)의 산정(刪定)을 부탁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석굴사(石窟寺) - 석골사(石骨寺)
경상남도 밀양(密陽) 운문산(雲門山)에 위치한 사찰. 560년(진흥왕 12) 비허(備虛)가 창건함. 또는 773년(혜공왕 9) 법조(法照)가 창건했다고도 함. 고려 건국에 도움을 주어 고려시대에 크게 발전함.
560 한국>신라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사찰
-
석근(石根) - 이석근(李石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아들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아버지.
?~14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석기(石奇) - 황석기(黃石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창(義昌). 조적(曺頔)과 기철(奇轍)의 무리를 제거할 때 공을 세웠으며,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역임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석기(碩期) - 강석기(姜碩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으로,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인 강빈(姜嬪)의 아버지. 강빈 사건으로 관작을 추탈당했다가 숙종(肅宗) 때 복관(復官)됨.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1580~164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석기린(石麒麟) - 서릉(徐陵)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문신ㆍ시인. 동궁(東宮)에서 관직을 함께 했던 아버지 서추(徐推), 유견오(庾肩吾)ㆍ유신(庾信) 부자와 함께 화려한 궁체시(宮體詩)를 즐겨 지어 서유체(徐庾體)라 칭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석노(石奴) - 사석(謝石)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문신ㆍ무신. 사안(謝安)의 아우로, 383년에 정토대도독(征討大都督)에 임명되어 조카인 사현(謝玄)ㆍ사염(謝琰)과 함께 비수(淝水) 싸움에서 전진(前秦) 부견(苻堅)의 백만 대군을 격파함.
327~38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석노야(石老爺)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석농(石農) - 오진영(吳震泳)
근대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전우(田愚)의 문인으로 간재학파(艮齋學派)의 대표적 인물. 의리론(義利論)을 앞세워 유교전통을 수호하고, 〈포고천하문(布告天下文)〉을 짓는 등 독립운동에도 참여함. 죽천집(竹川集) 간행에 관여함.
?~1944 한국>근대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학자
-
석단(石壇) - 정역동(丁易東)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때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를 지냈으나 원 나라 때는 벼슬을 하지 않고 물러나 생도(生徒)들을 가르침. 저서에 《역상의(易象義)》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담(石潭)@이이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담(釋曇) - 담시(曇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고구려 요동(遼東)에 와서 불법을 펴, 삼승(三乘)의 가르침으로 삼귀오계(三歸五戒)의 법을 세워 교화하였다고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 -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가 지은 연시조. 황해도 해주(海州)의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수양산(首陽山)의 풍경과 감회를 읊은 시로, 주희(朱熹)의 〈무이구곡(武夷九曲)〉를 본떠 지음.
157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작품명
-
석담기(石潭記) - 석담일기(石潭日記)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이이(李珥)가 명종(明宗)~선조(宣祖) 연간 17년 간의 중요한 시사(時事)를 일기체(日記體) 형식으로 기록한 책.
1565~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석당(石堂) - 김상정(金相定)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군수 김영택(金令澤)의 아들. 승지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정조가 즉위하자 정조와 사이가 나빴던 홍인한(洪麟漢)과 가까웠던 이유로 파직됨. 저서로 《석당유고(石堂遺稿)》가 있음.
1722~178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석당(石堂)@박제상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석당(石塘)@권협 - 권협(權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아들.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고급사(告急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
1553~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부평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석당(石塘) - 조세우(曺世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고양 군수(高陽郡守)를 지낸 조척(曺倜)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후 이언적(李彦迪)ㆍ송희규(宋希奎) 등과 교유함.
14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석덕(碩德) - 강석덕(姜碩德)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 심온(沈溫)의 사위이며,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의 아버지. 청렴과 효우(孝友)로 명망이 높았음. 인수부 소윤(仁壽府少尹)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395~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