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석덕팔랄(碩德八刺) - 영종(英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321~1323. 재위 중 한족(漢族)의 인재를 등용하고 세금을 감면하는 한편 법제를 정비하여 대원통제(大元通制) 등을 반포함.
1303~1323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석도안(釋道安) - 도안(道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반야학(般若學) 본무종(本無宗)의 대표적 인물.
312~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석동(石洞) - 김이원(金履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대북(大北)에 속하여 임해군(臨海君)을 사사(賜死)하게 하고 소북(小北)을 제거하기 위한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잘 다스려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훈됨.
1553~16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석동(碩童) - 이석동(李碩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이사겸(李思謙)의 아버지로, 광흥창 수(廣興倉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석량(錫良) - 김석량(金錫良)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6년(중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 않음. 묘지명(墓誌銘)이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석령(石齡) - 노석령(盧石齡)
조선 전기의 유학. 신응시(辛應時)의 《백록유고(白麓遺稿)》에 〈방노자고석령(訪盧子固石齡)〉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석령(錫齡) - 이석령(李錫齡)
조선 전기의 종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맏아들인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아들이며. 선조(宣祖)의 조카로, 중부(仲父)인 하릉군(河陵君) 이린(李麟)의 후사가 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석로(石老)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석론(釋論) - 대지도론(大智度論)
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龍樹)가 저술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은 없고,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한역본(漢譯本) 100권만이 전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석루(石樓)@오종도 - 오종도(吳宗道)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수병을 이끌고 와서 공적을 세웠으며, 1593년(선조 26)에 거제(巨濟)를 지키기 위해 진주(晉州)를 지나가면서 의병장 김천일(金千鎰)을 위해 쓴 제문(祭文)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석루(石樓) - 이경전(李慶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산해(李山海)의 아들로, 문필이 뛰어났으며,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하다가 유배생활을 하였고, 병자호란 후 병을 핑계로 삼전도(三田渡)의 비문 작성의 명을 거절하였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7~164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석루집(石樓集) - 석루유고(石樓遺稿)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경전(李慶全)의 문집. 1659년(효종 10) 담양 부사(潭陽府使)로 있던 아들 이무(李袤)가 4권 4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6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문헌>서명
-
석륵(石勒) - 고조(高祖)@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 후조(後趙)의 제1대 황제. 재위 319~333. 유능한 통치자로 알려짐.
274~3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석릉(石陵)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석릉자(石陵子)@김매순 - 김매순(金邁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거쳐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 등을 지냈고, 당대의 문장가로 홍석주(洪奭周)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아 여한십대가(麗韓十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성리학에 뛰어남.
1776~18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릉자(石陵子) - 권대기(權大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문인. 1552년(명종 7)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후학을 양성함.
1523~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석린(石璘) - 성석린(成石璘)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고려 말 왜구를 격퇴하고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우는 등 수차례 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초서(草書)를 잘 씀.
1338~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석림(石林) - 섭몽득(葉夢得)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지복주 겸 복건안무사(知福州兼福建安撫使) 등을 역임하고, 평생 학문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사(詞)에 뛰어나 여러 저술을 남김.
1077~114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림(石林)@이벽 - 이벽(李壁)@송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문장(文章)이 뛰어나고 전장(典章)과 제도(制度)에 정통하였으며, 권신 한탁주(韓侂冑)를 추종하여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159~12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석림섭씨(石林葉氏) - 섭몽득(葉夢得)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지복주 겸 복건안무사(知福州兼福建安撫使) 등을 역임하고, 평생 학문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사(詞)에 뛰어나 여러 저술을 남김.
1077~114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