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석부광(釋溥光) - 이부광(李溥光)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가 주방(酒坊)에 쓴 그의 글씨를 보고 추천하여 세조(世祖) 때 소문관 태학사(昭文館太學士)에 봉해짐. 한때 궁성(宮城) 전각의 편액(扁額)에 그의 작품이 많았다고 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예술인>서화가
-
석북(石北) - 신광수(申光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고령(高靈). 1746년(영조 22)에 관산융마(關山戎馬)란 시(詩)로 급제했는데, 이 시는 당시 과시(科詩)의 모범이 됨. 1774년(영조 50)에 관서지방의 풍속ㆍ고적ㆍ고사 등을 소재로 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으며, 《석북집(石北集)》을 남김.
1712~17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석사(石寺) - 응석사(凝石寺)
경상도 영천(榮川)에 있는 사찰. 박승임(朴承任)과 문하생들이 응석사(凝石寺)를 유람하면서 지은 시를 〈응석사창수록(凝石寺唱酬錄)〉이라 하는데 《소고집(嘯皐集)》에 실려 있음.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사찰
-
석상서(石尙書)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석선재(石仙齋)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석성부(石城府) - 박다(博多)
일본 서해도(西海道) 구주(九州) 가운데 축전주(築前州)에 속한 거진(巨鎭) 이름. 대외교통의 요충지로, 신라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순국한 곳으로 전해짐.
일본 , 지명>행정지명
-
석성부원군(碩城府院君) - 인당(印璫)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교동인씨(喬桐印氏)의 시조. 원(元) 나라가 국경침입을 구실로 위협하자 공민왕(恭愍王)에 의해 죄를 뒤집어쓰고 사형당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무신
-
석소(釋疏) - 논어석소(論語釋疏)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의 저서. 현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석소(釋疏)@대학석소 - 대학석소(大學釋疏)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이 지은 《대학(大學)》의 주석서(註釋書).
157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석손(錫孫) - 이석손(李錫孫)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 때에 아들 신창령(新昌令) 이흔(李訢)과 함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고변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석수(碩壽) - 이석수(李碩壽)
조선 후기의 종친. 무산군(茂山君)의 여섯째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고, 동생인 영원군(永原君)과 함께 선릉(宣陵)과 정릉(靖陵)을 봉심(奉審)함. 부안군(扶安君)으로 봉해짐.
1524~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석순(碩淳) - 권석순(權碩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474년(성종 5)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며, 정수강(丁壽崗)의 《월헌집(月軒集)》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석식영암(釋息影菴) - 식영(息影)
고려 후기의 승려. 선원사(禪源寺)에서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침. 시문(詩文)에 조예가 깊고, 사대부들과 교류가 많았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석실(石室) - 김상헌(金尙憲)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음.
1570~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기도>양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실사(石室祠) - 석실서원(石室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양주(楊州)에 건립한 서원. 1663년(현종 4)에 사액되었으며, 김상용(金尙容)ㆍ김상헌(金尙憲)ㆍ김수항(金壽恒)ㆍ민정중(閔鼎重)ㆍ이단상(李端相)ㆍ김창협(金昌協) 등을 배향함. 현재 경기도 남양주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석실산인(石室山人) - 김상헌(金尙憲)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음.
1570~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기도>양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실서재(石室書齋) - 석실서원(石室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양주(楊州)에 건립한 서원. 1663년(현종 4)에 사액되었으며, 김상용(金尙容)ㆍ김상헌(金尙憲)ㆍ김수항(金壽恒)ㆍ민정중(閔鼎重)ㆍ이단상(李端相)ㆍ김창협(金昌協) 등을 배향함. 현재 경기도 남양주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석실선생(石室先生) - 문동(文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화가. 시문과 글씨, 특히 죽화(竹畵)에 뛰어나 후세에 묵죽(墨竹)의 개조(開祖)로 추앙받음.
1018~1079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석실선생(石室先生)@육유지 - 육유지(陸維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 속세를 초월한 뜻을 가지고 대조동천(大滌洞天)의 석실(石室)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석양군(石陽君) - 이정(李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현손이자,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로, 석양군(石陽君)에 봉해짐. 시ㆍ서ㆍ화에 능하고, 특히 묵죽화(墨竹畫)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
1541~162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