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강속록(三綱續錄) -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
조선 중종(中宗) 때 신용개(申用漑)가 왕명을 받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보유(補遺)하여 편찬한 책.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강팔목(三綱八條)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삼강행실(三綱行實) -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조선 세종(世宗) 때 설순(薛循) 등이 왕명을 받아 삼강(三綱)의 모범이 될 만한 사람 105명의 행적을 모아 간행한 책. 조선시대의 도덕서(道德書).
14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강행실속록(三綱行實續錄) -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
조선 중종(中宗) 때 신용개(申用漑)가 왕명을 받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보유(補遺)하여 편찬한 책.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검(三劒) - 신검(神劒)
후백제(後百濟)의 제2대 왕. 재위 935~936. 견훤(甄萱)의 장남. 견훤이 넷째 아들 금강(金剛)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자, 두 동생 양검(良劍)ㆍ용검(龍劍) 등과 공모하여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시키는 한편, 금강을 죽이고 스스로 왕이라 칭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국왕
-
삼경(三卿) - 삼환(三桓)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정치의 중심세력을 형성한, 환공(桓公)의 자손인 맹손씨(孟孫氏)ㆍ숙손씨(叔孫氏)ㆍ계손씨(季孫氏)의 삼가(三家)를 가리키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삼경로(三逕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삼경사서석의(三經四書釋義) - 경서석의(經書釋義)
조선 전기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삼경(三經)과 사서(四書)를 주석(註釋)한 책. 임진왜란 때 일실(逸失)되었으나, 광해군(光海君) 때 전사본(傳寫本)을 수집하여 간행함. 8권 2책. 목판본(木版本).
160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삼경집람(三經輯覽) - 역시서집람(易詩書輯覽)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지충(李之忠)이 편찬한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삼계(三戒) - 김삼계(金三戒)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삼계(三桂) - 오삼계(吳三桂)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무신. 명 나라 말에 산해관(山海關)을 지켰으나, 청 나라에 항복하고 이자성(李自成)을 격파함. 후에 다시 청 나라를 배반하여 주(周) 나라를 세우고 황제라 칭하였으나 곧 병사(病死)함.
1612~1678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삼계(三溪) - 최경회(崔慶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가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남강(南江)에 투신자살함. 진주 창렬사(彰烈祠) 등에 제향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삼계원(三溪院) - 삼계서원(三溪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1588년(선조 21) 창건되어 권벌(權橃)의 위패를 봉안했으며, 1660년(현종 1) 사액됨. 현재 경상북도 봉화(奉化)에 속함.
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삼고제(三顧帝)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삼광(三光) - 문다성(文多省)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삼괴(三槐) - 신종호(申從濩)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과에 세 차례 장원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역임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ㆍ《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문장과 시ㆍ글씨에 뛰어났음.
1456~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삼괴(三魁) - 신종호(申從濩)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과에 세 차례 장원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역임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ㆍ《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문장과 시ㆍ글씨에 뛰어났음.
1456~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삼괴당(三槐堂) - 남지언(南知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고성(固城). 남인(南寅)의 아들이며, 남정(嵐亭) 김시창(金始昌)의 사위이자 문인. 김천도 찰방(金泉道察訪)을 지냈으며, 말년에 황간(黃澗)에 삼괴당(三槐堂)을 짓고 후학 교육에 전념함.
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황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삼괴당(三魁堂) - 신종호(申從濩)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과에 세 차례 장원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역임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ㆍ《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문장과 시ㆍ글씨에 뛰어났음.
1456~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삼국본사(三國本史) -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 인종(仁宗) 때 김부식(金富軾)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기전체(紀傳體)의 역사서. 우리나라에 현전(現傳)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 총 50권.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됨.
1145 한국>고려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