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화옹주(敬和翁主)
고려 후기의 종친. 통의군(通儀君) 왕연(王𤦷)의 딸로,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 홍빈(洪彬)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종친
-
경후(景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제후. 재위 B.C.403~B.C.400. 위사(魏斯)ㆍ조적(趙籍)과 함께 진(晉) 나라의 대부(大夫)였다가 주(周) 위열왕(威烈王)으로부터 제후에 봉해지고, 이때부터 전국시대가 비롯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흥(慶興)
함경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으나, 북방민족이 거주하다 고려 말기에 복속시켜 공주(孔州)가 됨. 목조(穆祖)가 처음으로 터전을 마련한 곳이며, 두만강에 인접한 국경 도시로서 예로부터 국방의 요충지임.
함경도>경흥 , 지명>행정지명
-
경희(慶喜)
조선 전기의 승려.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서경희축희왕풍악(書慶喜軸喜往楓岳)〉과 〈차경희축운(次慶喜軸韻)〉이라는 칠언절구(七言絶句) 두 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희(景熙)
조선 전기의 승려.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도화원석상증경희(桃花源石上贈景熙)〉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종교인>승려
-
계(啓)
중국 하(夏) 나라 제2대 왕. 9년간 재위함. 우왕(禹王)의 아들. 성은 사(姒)씨. 그로부터 선양(禪讓)이 사라지고 왕위세습제가 확립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계(鷄)
닭. 가금(家禽)의 하나로, 민속(民俗)에서 새벽을 알리고 귀신을 쫓는 벽사(辟邪)의 동물로 일컬어짐.
자연물>동물
-
계^맹(季^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大夫)인 계손씨(季孫氏)와 맹손씨(孟孫氏)를 함께 부르는 말. 계손씨와 맹손씨의 중간이라는 말로, 높지도 낮지도 않은 예우(禮遇)를 뜻하기도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계갑록(癸甲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우성전(禹性傳)의 저서. 1583년(선조 16) 6월부터 1584년(선조 17) 8월까지 1년 2개월 간의 정치기사를 일기체로 엮음. 1책. 1911년에 《대동야승(大東野乘)》 제24권에 수록되어 간행됨.
191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계강자(季康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애공(哀公) 때의 정경(正卿). 공자(孔子)에게 정치에 대해 물은 것이 《논어(論語)》 〈안연(顔淵)〉편에 실려 있음.
?~B.C.46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고(階古)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의 음악가. 신라에 투항한 가야의 음악가인 우륵(于勒)에게 가야금을 배움. 만덕(萬德)ㆍ법지(法知)와 함께 만든 곡이 신라의 궁중음악인 대악(大樂)으로 채택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계곡집(谿谷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유(張維)의 문집. 목판본. 36권 18책. 아들 장선징(張善澂)이 저자가 만들어 놓은 정고본(定稿本) 〈계곡초고(谿谷草稿)〉를 수습ㆍ보충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각(李恪)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문헌>서명
-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비(妃). 중국 원(元) 나라의 진왕(晉王) 감마랄(甘麻剌)의 딸. 충선왕이 세자로 원 나라에 있을 때 혼인하였으며, 투기가 심하여 조인규(趙仁規)의 딸 조비(趙妃)를 무고(誣告)한 사건을 일으킴.
?~1315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계녀서(戒女書)
조선 후기의 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이 출가하는 딸에게 교훈으로 삼도록 지어준 글. 한글 필사본. 1책. 조선시대 사대부가(士大夫家) 부녀자들의 행동에 관한 사회적 규범을 보여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계당(戒幢)
조선 전기의 승려.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관련된 칠언절구(七言絶句)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계당집(溪堂集)
조선 전기의 학자인 최흥림(崔興霖)의 시문집. 1권 1책. 1804년(순조 4)에 11대손 최학수(崔學洙) 등이 편집 간행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계룡산(鷄龍山)
충청남도 공주(公州)ㆍ논산(論山)ㆍ대전(大田)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신라시대 오악(五嶽) 중 하나.
충청도>연산ㅣ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계륵(鷄肋)
닭의 갈비뼈라는 뜻. 중국 삼국시대에 위(魏) 나라의 조조(曹操)가 촉(蜀) 나라와 항전 중이던 한중성(漢中城)을 쓸모는 없으나 버리기는 아까운 땅이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지만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나타낼 때 쓰는 말. 《후한서(後漢書)》 〈양수전(楊修傳)〉에 나옴.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림서사(鷄林書事)
중국 송(宋)~금(金) 나라의 문신ㆍ서화가인 오격(吳激)이 고려에 대해 지은 시. 금(金) 나라 원호문(元好問)의 시집인 《중주집(中州集)》에 실려 있음.
중국>금 , 중국 , 문헌>작품명
-
계명구도(鷄鳴狗盜)
닭의 울음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 흉내를 잘 내는 도둑.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맹상군(孟嘗君)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고상한 학문은 없고 천박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는 사람을 비유함. 《사기(史記)》〈맹상군전〉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