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국사략(三國史略) - 동국사략(東國史略)
조선 태종(太宗) 때 권근(權近) 등이 왕명에 따라 단군조선(檀君朝鮮)에서 삼국시대(三國時代)까지의 역사를 강목체(綱目體)로 기술한 관찬사서(官撰史書). 8권. 활자본.
140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군(三君) - 진식(陳寔)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태구 현령(太丘縣令)을 지냄. 아들 진기(陳紀)ㆍ진심(陳諶)과 함께 세 군자란 명성이 있으며, 양상군자(梁上君子)란 고사로도 유명함.
104~18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조선시대의 중앙군인 오위(五衛)를 지휘 감독한 최고 군령기관(軍令機關). 군정(軍政)의 문란과 임진왜란(壬辰倭亂)을 계기로 문제점이 드러나자 훈련도감(訓練都監)ㆍ어영청(御營廳) 등으로 대체하고 1882년(고종 19)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삼근(三近) - 심삼근(沈三近)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들이자 심위(沈渭)의 아버지로, 통사랑(通仕郞)에 이름.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삼기(三岐)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삼년산(三年山) - 보은(報恩)
충청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소백산맥(小白山脈)이 지나감.
충청도>보은 , 지명>행정지명
-
삼년산서원(三年山書院) - 상현서원(象賢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충청도 보은(報恩)에 건립한 서원. 1555년(명종 10) 성제원(成悌元)이 충암(沖庵) 김정(金淨)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했으며, 1610년(광해군 2) 사액(賜額)됨. 성운(成運)ㆍ송시열(宋時烈)ㆍ조헌(趙憲) 등을 추배함.
155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삼년성서원(三年城書院) - 상현서원(象賢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충청도 보은(報恩)에 건립한 서원. 1555년(명종 10) 성제원(成悌元)이 충암(沖庵) 김정(金淨)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했으며, 1610년(광해군 2) 사액(賜額)됨. 성운(成運)ㆍ송시열(宋時烈)ㆍ조헌(趙憲) 등을 추배함.
155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삼달(三達) - 심삼달(沈三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들이자 심징(沈澄)의 아버지로, 1630년(인조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삼당(三唐) - 당(唐)
수(隋) 나라에 이은 중국의 통일 왕조. 문화ㆍ예술의 황금시대를 이루었으며, 고조(高祖)에서 애제(哀帝)까지 20대 290년간 존속.
618~907 중국>당 , 중국 , 시간>국명
-
삼당(三塘)@강석기 - 강석기(姜碩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으로,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인 강빈(姜嬪)의 아버지. 강빈 사건으로 관작을 추탈당했다가 숙종(肅宗) 때 복관(復官)됨.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1580~164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삼당(三塘) - 김영(金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영수(金永銖)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의 피해자를 신원(伸寃)하도록 상소함.
147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삼덕(參德) - 한삼덕(韓參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송재(松齋) 한충(韓忠)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삼도(三島)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삼도(三島)@거문도 - 거문도(巨文島)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는 다도해(多島海) 최남단의 섬. 1885년(고종 22)에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는다는 구실로 이곳을 불법 점령한 거문도 사건이 있었음. 현재 전라남도 여수시(麗水市)에 속함.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삼도(三島)@임계영 - 임계영(任啓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 임진왜란 때 박광전(朴光前)ㆍ최경회(崔慶會) 등과 의병활동을 펼쳐 크게 활약함. 진보 현감(眞寶縣監) 등을 지냄.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삼도동혈(三道洞宂) - 선인사(仙人祠)
중국 사천성(四川省) 청성현(靑城縣)의 명학산(鳴鶴山)에 있던 포교 사당.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삼랑(三郞)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삼려(三閭)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삼려대부(三閭大夫)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