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송(三松) - 남몽오(南夢鰲)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 남기(南麒)의 아들로, 조목(趙穆)ㆍ김성일(金誠一)과 교유했으며, 기영사(耆英祠)에 제향됨.
152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삼송(三頌)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삼송당(三松堂) - 남몽오(南夢鰲)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 남기(南麒)의 아들로, 조목(趙穆)ㆍ김성일(金誠一)과 교유했으며, 기영사(耆英祠)에 제향됨.
152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삼십육린(三十六鱗)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삼어연(三語椽) - 완첨(阮瞻)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학자. 사도(司徒) 왕융(王戎)이 성인(聖人)의 명교(名敎)와 노장(老莊)의 차이점을 물었는데, 장무동(將無同)이라 대답하여 관속(官屬)이 되었기에 삼어연(三語掾)이라 일컬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삼여(三與)@소안 - 소안(紹安)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혼수(混脩)에게 배워 출가했으며, 스승이 입적한 후 유방(遊方)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삼연(三淵) - 김창흡(金昌翕)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셋째 아들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산수를 즐기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가 사사되자 영평(永平)에 은거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여 학자로 이름을 떨침.
1653~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삼우(三友) - 이지충(李之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평생을 경사(經史) 연구와 후진(後進) 양성에 힘씀.
1509~15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학자
-
삼우당(三友堂) - 이지충(李之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평생을 경사(經史) 연구와 후진(後進) 양성에 힘씀.
1509~15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학자
-
삼우당(三憂堂) - 문익점(文益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원(元) 나라에서 목화씨를 몰래 가져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함.
132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삼우재(三友齋) - 박경신(朴慶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급제하여 선천 병마첨절제사(宣川兵馬僉節制使)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며, 청도(淸道)에서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삼우정(三友亭) - 박경신(朴慶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급제하여 선천 병마첨절제사(宣川兵馬僉節制使)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며, 청도(淸道)에서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삼월삼일난정시서(三月三日蘭亭詩序) - 난정서(蘭亭序)
중국 동진(東晉)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가 쓴 산문. 사안(謝安) 등이 회계산(會稽山) 난정(蘭亭)에서 제사를 올리고 시를 지어 문집을 만들었는데, 여기에 왕희지(王羲之)가 서문(序文)을 씀. 그 글씨는 천하 제일의 행서(行書)로 평가됨.
35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삼유자(三遊子)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삼은(三隱) - 이민각(李民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증손이자 이윤검(李胤儉)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삼은옹(三隱翁) - 이민각(李民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증손이자 이윤검(李胤儉)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삼익(三益) - 배삼익(裵三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진사사(陳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황해도 관찰사로 구황(救荒)에 힘쓰다 병사함.
1534~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삼일당(三一堂)@신일 - 신일(辛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낸 신국균(辛國鈞)의 아들로,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선산 부사(善山府使)ㆍ제용감 정(濟用監正)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삼일당(三一堂) - 성로(成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성영국(成永國)의 아들로, 스승 정철(鄭澈)의 잦은 유배와 동문 권필(權韠)의 죽음을 보고 세상과 인연을 끊고 만년에는 술과 시로써 세월을 보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삼일재(三一齋) - 김구(金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광산(光山). 글씨에 뛰어나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ㆍ양사언(楊士彦)ㆍ한호(韓濩)와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힘.
1488~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