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장(三藏)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삼장법사(三藏法師)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삼전(三傳) - 춘추삼전(春秋三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대표적인 세 가지 주석서(註釋書).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ㆍ《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삼절(三絶) - 강희안(姜希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림.
1417~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삼절당(三節堂) - 최여주(崔汝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의 문인으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내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1502~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삼제(三悌) - 신삼제(申三悌)
조선 전기의 학자.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언기(金彦璣)의 제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삼조(三祖) - 승찬(僧璨)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수(隋) 나라 때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의 삼조(三祖)로, 이조(二祖) 혜가(慧可)에게서 법을 이어받은 후 도신(道信)에게 법을 전함.
?~606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삼조선(三朝鮮) - 고조선(古朝鮮)
B.C.108년까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 존재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과거 상고사(上古史)에서는 단군조선(檀君朝鮮)ㆍ기자조선(箕子朝鮮)ㆍ위만조선(衛滿朝鮮)을 통틀어 일컬음.
?~B.C.108 고대 , 시간>국명
-
삼족(三足)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삼족거사(三足居士)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삼족당(三足堂)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삼주(三州) - 우봉(牛峯)
황해도 남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1651년(효종 2)에 강음(江陰)과 병합하여 금천(金川)으로 개명함.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金川郡)에 속함.
황해도>우봉 , 지명>행정지명
-
삼주(三洲) - 김창협(金昌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이후 은거함.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기론(理氣論)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 《농암집(農巖集)》을 남김.
1651~17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경기도>과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삼주이씨(三州李氏) - 우봉이씨(牛峯李氏)
고려시대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잠성부원군(岑城府院君)에 봉해진 이공정(李公靖)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황해도>우봉 , 인명>집단>성씨
-
삼지(三支)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삼지(三池) - 최운(崔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김정(金淨)과 함께 수학했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횡간 현감(橫澗縣監)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500~152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삼진작(三眞勺) - 정과정곡(鄭瓜亭曲)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인(文人)인 정서(鄭敍)가 동래(東萊)로 귀양 가 있을 때 임금을 생각하며 지은 십구체(十句體) 향가(鄕歌) 형식의 고려가요(高麗歌謠).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문헌>작품명
-
삼차하(三汊河) - 삼차하(三叉河)
중국 요동(遼東)의 봉성(鳳城) 6리 지점에 있는 강. 요하(遼河)와 혼하(渾河), 태자하(太子河)가 합류한 곳으로, 조선시대 북경(北京)으로 가는 사행(使行) 길에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삼천례(三千禮)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삼첩가(三疊歌)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