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첩양관(三疊陽關)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삼출(三黜)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삼치(三癡)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삼탄(三灘) - 이승소(李承召)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함.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禮樂)ㆍ음양(陰陽)ㆍ율력(律曆)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
1422~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삼탄선생집(三灘先生集) - 삼탄집(三灘集)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이승소(李承召)의 시문집. 14권 5책. 목판본. 아들 이희(李熙)와 외손자 이수동(李壽童)이 1515년(중종 10) 함경도 관찰사 윤금손(尹金孫)의 도움을 받아 함흥(咸興)에서 간행함.
1515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함흥 , 문헌>서명
-
삼하(三河) - 삼류하(三流河)
중국 요녕성(遼寧省)의 낭자산(狼子山) 30리 지점에 있는 강으로, 동북(東北)으로 흘러 태자하(太子河)로 흘러 들어감. 책문(柵門)에서 심양(瀋陽)까지 가는 사행(使行) 길에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예성부부인 -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부인. 본관은 해주(海州). 정역(鄭易)의 딸로, 효령대군 사이에서 6남 1녀를 둠.
1394~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 소헌왕후(昭憲王后)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심온(沈溫)의 딸로,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왕후로 봉해짐. 심온이 대역(大逆)의 혐의를 받고 사사되자 폐비(廢妃)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됨.
1395~14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의혜왕후 - 의혜왕후(懿惠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어머니. 본관은 영흥(永興). 최한기(崔漢奇)의 딸로, 태조가 등극한 후 의비(懿妃)에 봉해지고, 태종(太宗) 때 의혜왕후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왕비
-
삼한대부인(韓國大夫人) -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부인. 본관은 해주(海州). 정역(鄭易)의 딸로, 효령대군 사이에서 6남 1녀를 둠.
1394~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 벽상공신(壁上功臣)
고려시대 공신(功臣)에게 내린 호(號). 고려 건국 후 신흥사(新興寺) 공신당(功臣堂)에 그린 삼한공신(三韓功臣)을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부른 데서 유래함.
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삼한주보(三韓主父)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삼현서원(三賢書院)@회덕 - 숭현서원(崇賢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회덕(懷德)에 건립한 서원. 1609년(광해군 1)에 중건되어 같은 해 사액되었으며, 정광필(鄭光弼)ㆍ송준길(宋浚吉) 등을 배향함.
158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삼호(三胡) - 이원길(李元吉)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넷째 아들. 형인 은태자(隱太子) 이건성(李建成)과 함께 후에 태종(太宗)이 된 이세민(李世民)을 몰래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이세민에게 죽임을 당함.
603~62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삼혹호(三酷好)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삼환씨(三桓氏) - 삼환(三桓)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정치의 중심세력을 형성한, 환공(桓公)의 자손인 맹손씨(孟孫氏)ㆍ숙손씨(叔孫氏)ㆍ계손씨(季孫氏)의 삼가(三家)를 가리키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삼회처사(三悔處士) - 심세경(沈世經)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6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삼훈당(三訓堂) - 양팽석(梁彭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우로, 기묘사화(己卯士禍) 후에 벼슬에 관심을 끊고 전리(田里)로 돌아가 은둔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삼휴(三休) - 사공도(司空圖)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당 나라 말에 환관이 발호하고 당쟁이 극심해지자 관직을 사임하고 중조산(中條山)의 왕관곡(王官谷)에 은거하며 시작(詩作)에 전력함.
837~90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