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휴당(三休堂) - 윤관(尹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당대(當代)의 신진사류들과 교유하였으며,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 등을 역임함.
149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삼휴자(三休子)@경섬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삼휴자(三休子) - 윤관(尹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당대(當代)의 신진사류들과 교유하였으며,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 등을 역임함.
149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삼흉(三凶) - 정유삼흉(丁酉三凶)
조선 중종(中宗) 32년 정유년(1537)에 사사(賜死)된 김안로(金安老)ㆍ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 세 사람을 가리키는 말. 이들은 권력을 전횡하여 여러 번 옥사를 일으켰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꾀하다가 사사됨.
1537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관용어
-
삽량(揷良) - 양산(梁山)
경상도 남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양산 , 지명>행정지명
-
삽량주(揷良州) - 양산(梁山)
경상도 남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양산 , 지명>행정지명
-
상(商)@양상 - 양상(梁商)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의 무신. 순제의 국구(國舅)이며, 양기(梁冀)의 아버지. 대장군(大將軍)을 지내고, 맏딸과 둘째딸이 순제의 황후(皇后)와 귀인(貴人)이 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상(商) - 복상(卜商)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문학(文學)에 뛰어났으며,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전하여 《공양전(公羊傳)》과 《곡량전(穀梁傳)》의 원류(源流)를 이루었고, 예(禮)의 객관적인 형식을 존중함.
B.C.507?~B.C.42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상(商)@은 - 은(殷)
중국 고대의 왕조(王朝). 시조는 탕왕(湯王)이며 주왕(紂王)의 폭정으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수도의 이름을 따라 상(商)이라고도 하며, 은허(殷墟)의 발굴로 인해 중국 최초의 역사적 왕조로 인정됨.
B.C.1600~B.C.1046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상(尙) - 김상(金尙)
고려시대의 호장(戶長). 본관은 예안(禮安). 예안김씨(禮安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아전
-
상(常)@홍상 - 홍상(洪常)
조선 추존왕인 덕종(德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들로, 덕종의 딸 명숙공주(明淑公主)와 혼인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뒤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57~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상(常)@조선 - 이상(李常)@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손자이며,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이석근(李石根)의 일곱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상(常)@송 - 이상(李常)@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젊었을 때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서 공부하였으며, 과거에 급제한 뒤 장서(藏書) 9천여 권을 공부하던 집에 기증하고 ‘이씨산방(李氏山房)’이라 명명했는데, 이에 대해 소식(蘇軾)이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를 지음.
1027~109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常)@권상 - 권상(權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권진(權振)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선공감 정(繕工監正)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후에 영의정(領議政) 동흥부원군(東興府院君)에 추증됨.
1508~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庠) - 원상(元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장단(長湍)에 은거함. 조선 개국 후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문신
-
상(湘)@김상 - 김상(金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군수(郡守) 김경언(金慶言)의 아버지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상(湘) - 이상(李湘)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였음.
1486~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상(祥)@노상 - 노상(盧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1504~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상(祥)@이전의아들 - 이상(李祥)@이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서자인 영산군(寧山君) 이전(李恮)의 아들이며. 안민학(安敏學)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상(祥)@이문환의아들 - 이상(李祥)@이문환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문환(李文煥)의 아들. 1496년(연산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김극성(金克成)의 《우정집(憂亭集)》에 그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