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祥)@양숙의사위 - 이상(李祥)@양숙의사위
조선 전기의 유학. 양숙(梁淑)의 넷째 사위로, 적순부위(迪順副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상(祥)@윤상 - 윤상(尹祥)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인 조용(趙庸)에게 수학하였으며, 세종(世宗) 때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으로 세손(世孫)이던 단종을 가르침. 경학(經學)에 밝고 문장에도 매우 능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씀.
1373~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祥)@오상 - 오상(吳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문장에 뛰어나 8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12~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祥)@선상 - 선상(宣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보성(寶城). 선조(宣祖) 때의 무신 선거이(宣居怡)의 아버지로, 도사(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상(祥)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상(裳)@고려 - 황상(黃裳)@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의창(義昌)으로, 회산군(檜山君) 황석기(黃石奇)의 아들. 장사성(張士誠) 토벌과 기철(奇轍) 일파 숙청에 참여했으며, 개경 등지에 침입한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수훈을 세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상(裳)@송 - 황상(黃裳)@송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 좌승상(左丞相) 유정(留正)에 의해 발탁되어 익선(翊善)을 지내며 황자(皇子)였던 영종(寧宗)을 보필함. 저서에 《왕부춘추강의(王府春秋講義)》ㆍ《겸산집(兼山集)》 등이 있음.
1146~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賞) - 김상(金賞)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 때의 무신. 김일제(金日磾)의 아들로, 아우인 김건(金建)과 함께 어려서부터 비슷한 또래인 소제와 친하게 지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상(鏛)@우상 - 우상(禹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우인손(禹仁孫)의 아들. 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07~156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상(鏛) - 신상(申鏛)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함.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
1480~153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상^문(商^文) - 탕^문(湯^文)
중국 은(殷) 나라를 세운 탕(湯)과 주(周) 나라의 기틀을 마련한 문왕(文王)을 함께 부르는 말. 유교에서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상^삼(商^參) - 삼^상(參^商)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서남방 신(申)의 위치에 있는 삼성(參星)과 동방 묘(卯)의 위치에 있는 상성(商星)을 함께 부르는 말. 친한 사람과 이별하여 만나지 못함을 비유함.
사상>술어>관용어
-
상^팽(殤^彭) - 팽^상(彭^殤)
중국 고대의 선인(仙人)으로 칠팔백 세를 살았다는 팽조(彭祖)와 일찍 죽은 미성년을 가리키는 상자(殤子)를 함께 부르는 말. 《장자(莊子)》의 〈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말로, 장수(長壽)와 단명(短命)을 극단적으로 비유함.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상가(商家) - 은(殷)
중국 고대의 왕조(王朝). 시조는 탕왕(湯王)이며 주왕(紂王)의 폭정으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수도의 이름을 따라 상(商)이라고도 하며, 은허(殷墟)의 발굴로 인해 중국 최초의 역사적 왕조로 인정됨.
B.C.1600~B.C.1046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상가(尙加) - 이포(李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조년(李兆年)의 아들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등을 지냄. 여섯 아들이 모두 과거(科擧)에 올라 가문이 크게 중흥함.
1287~137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상강(湘江) - 상수(湘水)
중국 남령(南寧)에서 발원하여 북으로 흘러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에 이르는 강. 요(堯) 임금의 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함께 순(舜) 임금에게 시집갔다가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상수에 빠져 죽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상강구객(湘江久客)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상강죽(湘江竹) - 상죽(湘竹)
상수(湘水)의 대나무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뜻함.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었을 때 두 비(妃)인 아황과 여영이 상수에서 흘린 눈물이 대줄기를 얼룩지게 하였다 해서 남편을 따라 죽은 두 비의 절개를 상징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상개(桑蓋)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건(尙建) - 김상건(金尙建)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함창(咸昌). 물암(勿巖) 김륭(金隆)의 5대손으로, 1774년(영조 50) 《물암집(勿巖集)》을 편집ㆍ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