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구사안(具思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부마.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孝順公主)를 맞아 능원위(綾原尉)에 봉해졌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經史)에 밝았음.
152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구사종(具嗣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용양위 사직(龍驤衛司直) 구숙원(具淑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구사중(具思仲)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통진 현감(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구사증(具思曾)
조선 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능성(綾城). 통진 현감(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이며, 구사맹(具思孟)의 형.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구산(緱山)
중국 하남성(河南省)에 있는 산 이름. 중국 주(周) 나라의 태자로 신선이 된 왕자교(王子喬)가 이곳에서 백학(白鶴)을 타고 올라가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구산(龜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사수현(泗水縣) 동북쪽에 있는 산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구산서원(龜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담양(潭陽)에 건립한 서원. 1704년(숙종 30) 송순(宋純)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함.
17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석종(仇碩種)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창원(昌原). 유학(幼學) 구유온(仇有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구선집(求善集)
고려 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무신인 강감찬(姜邯贊)의 저서. 전해지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문헌>서명
-
구성(具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고,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58~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구성궁예천명(九成宮醴泉銘)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 섬서성(陝西省) 구성궁(九成宮)에 세운 비석. 위징(魏徵)이 짓고 구양순(歐陽詢)이 쓴 것으로, 정원의 단 샘물이 솟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움.
632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구성로(具成老)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위화도 회군 이래 태조(太祖)를 보좌하여 조선 개국 후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고 판안동부사(判安東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구성윤(具誠胤)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구봉령(具鳳齡)의 아들.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구수담(具壽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1550년(명종 5)에 윤원형(尹元衡)의 계략에 의해 사사됨. 언관으로서 기묘명현들의 신원의 길을 열어놓음.
150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수영(具壽永)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동생 영응대군(永膺大君)의 사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등을 지냈고,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연산군의 충복이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파직됨.
1456~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구숙원(具淑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유학(幼學) 구사종(具嗣宗)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구순(具淳)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구희경(具希璟)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통진 현감(行通津縣監)을 지냄.
1507~155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순(寇恂)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공신. 광무제의 28장(將) 중 한 사람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고을 백성들의 칭송을 받은 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
-
구신경(具信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세조(世祖)의 조카사위인 구수영(具壽永)의 아들이며, 중종(中宗)의 사위인 능창위(綾昌尉) 구한(具澣)의 아버지. 춘천 부사(春川府事)ㆍ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 등을 지냄.
1494~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