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락군(上洛君)@김순 - 김순(金恂)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방경(金方慶)의 넷째 아들. 1312년(충선왕 4)에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오름. 성격이 관후(寬厚)하고 예서(隷書)를 잘 썼으며, 거문고와 퉁소를 즐김.
1258~132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락군(上洛君)@김방경 - 김방경(金方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효인(金孝印)의 아들로,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평정하고 원(元) 나라가 일본을 정벌할 때 참여함.
1212~130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상락군(上洛君)@김질 - 김질(金礩)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의 단종(端宗) 복위 계획을 고변하여 사육신(死六臣) 사건의 계기를 제공함.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에 참여함.
1422~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락군(上洛君)@김흔 - 김흔(金忻)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무신. 아버지 김방경(金方慶)을 따라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고 대장군이 되었으며, 이후 합단(合丹)을 격파하는 등의 공을 세움.
1251~130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상락군(上洛君) - 김득배(金得培)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개경(開京)과 서경(西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으나, 김용(金鏞)의 모략으로 정세운(鄭世雲)을 살해하고 그 죄로 효수당함.
1312~136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상락군(上洛君)@김묘 - 김묘(金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낸 김승택(金承澤)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락군(上洛君)@김영돈 - 김영돈(金永暾)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의 손자로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
1285~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상락군(上洛君)@김귀영 - 김귀영(金貴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선조 때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임해군(臨海君)을 호종하고 피난 갔다가 왜군의 포로가 된 일로 희천(熙川)으로 유배되어 죽음.
1520~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락군(上洛君)@권진 - 권진(權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인품이 강직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지 않아 여러 번 탄핵을 받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고관(高官)들이 모두 도주했지만 홀로 조정과 대궐을 호위해 많은 공을 세움.
157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락군(上洛君)@김광준 - 김광준(金光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소윤(小尹)의 한 사람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공신호(功臣號)를 받고 상락군(上洛君)에 책봉되었으며, 대사헌(大司憲)ㆍ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락군(上洛君)@김일 - 김일(金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한림학사(翰林學士) 김지연(金之衍)의 아들로, 보정공신(保定功臣)에 책록되었고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락군(上洛君)@김충갑 - 김충갑(金忠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등을 역임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벽서(壁書)사건에 연루되어 삭직됨. 선조 초에 해배된 뒤 사후(死後) 보조공신(輔祚功臣)에 추증됨.
1515~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락군(上洛君)@김후 - 김후(金厚)
고려 후기의 문신. 내부령(內府令)을 지낸 김승용(金承用)의 아들로,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를 지냈고, 상락군(上洛君)에 습봉(襲封)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락군개국공(上洛郡開國公) - 김방경(金方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효인(金孝印)의 아들로,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평정하고 원(元) 나라가 일본을 정벌할 때 참여함.
1212~130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상락김씨(上洛金氏) - 안동김씨(安東金氏)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손자 김숙승(金叔承)을 시조로 하는 구안동(舊安東) 계통과, 신라 말에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공을 세운 김선평(金宣平)을 시조로 하는 신안동(新安東)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안동 , 인명>집단>성씨
-
상락백(上洛伯)@김천 - 김천(金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김영후(金永煦)의 아들로,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락백(上洛伯)@김사형 - 김사형(金士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제1차 왕자난 때 태종의 즉위를 도움.
1333~140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상락백(上洛伯)@김방경 - 김방경(金方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효인(金孝印)의 아들로,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평정하고 원(元) 나라가 일본을 정벌할 때 참여함.
1212~130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상락백(上洛伯) - 김득배(金得培)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개경(開京)과 서경(西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으나, 김용(金鏞)의 모략으로 정세운(鄭世雲)을 살해하고 그 죄로 효수당함.
1312~136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김응무 - 김응무(金應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목사(牧使)를 지낸 김사원(金士元)의 아들. 좌의정을 지낸 아들 김귀영(金貴榮)으로 인하여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