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만(商巒) - 상산(商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상현(商縣) 동쪽에 있는 산. 상산사호(商山四皓)가 진(秦) 나라 말기 세상의 어지러움을 피하여 숨은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상모(上芼) - 연풍(延豊)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小白山脈) 기슭에 자리잡은 분지(盆地)로, 조선시대 중요한 군사적 지역이었음.
충청도>연풍 , 지명>행정지명
-
상묵(尙默) - 김상묵(金尙默)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감(縣監) 김성채(金聖采)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김종수(金鍾秀)와 교유함.
17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문(尙文) - 남상문(南尙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명(明) 나라의 경리(經理) 양호(楊鎬)가 뛰어난 학식에 감동되어 그의 문하가 되었고, 고고한 품행으로 금오랑(金吾郞)에 등용됨.
1520~160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문공(上門公) - 정협(鄭俠)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가뭄이 들어 유민(流民)들이 도로에 가득하게 되자, 이 참상(慘狀)을 유민도(流民圖)에 그려 올림으로써 신종(神宗)으로 하여금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혁파하고 유민을 구제하게 함.
1041~111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민(相民) - 홍상민(洪相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여하(洪汝河)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상방검(上方劍) - 상방검(尙方劍)
임금의 칼을 일컫는 말. 원래 중국 상방서(尙方署)에서 제작한 황제 전용 보검(寶劍)으로, 황제가 전권(全權)을 맡긴다는 표시로 대신(大臣)에게 하사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상방보검(上方寶劍) - 상방검(尙方劍)
임금의 칼을 일컫는 말. 원래 중국 상방서(尙方署)에서 제작한 황제 전용 보검(寶劍)으로, 황제가 전권(全權)을 맡긴다는 표시로 대신(大臣)에게 하사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상방보검(尙方寶劍) - 상방검(尙方劍)
임금의 칼을 일컫는 말. 원래 중국 상방서(尙方署)에서 제작한 황제 전용 보검(寶劍)으로, 황제가 전권(全權)을 맡긴다는 표시로 대신(大臣)에게 하사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상방참마검(尙方斬馬劍) - 상방검(尙方劍)
임금의 칼을 일컫는 말. 원래 중국 상방서(尙方署)에서 제작한 황제 전용 보검(寶劍)으로, 황제가 전권(全權)을 맡긴다는 표시로 대신(大臣)에게 하사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상백(商伯) - 황호(黃灝)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자가 그의 강론(講論)이 정밀하다고 칭찬하였고 이 칭찬으로 인해 명망(名望)이 높아짐. 관직은 광동 제형(廣東提刑)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보(商輔) - 송여우(宋汝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미년(宋眉年)의 아들로, 세상에 명성을 구하지 않고 초야에서 유유자적하며 지냄.
1460~152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상보(尙父)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상보(尙輔) - 이경석(李景奭)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 청(淸) 나라의 침략으로 인한 위기에서 국가를 구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씀.
1595~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상보(常甫) - 이경항(李景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남부 참봉(南部參奉) 이선(李璿)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조카. 형인 이경진(李景震)과 함께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상복(喪服)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상복전(喪服傳)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상부인(湘夫人) - 아황(娥皇)
중국 고대 전설상의 왕비. 요(堯) 임금의 딸로, 아우 여영(女英)과 더불어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되었는데,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여영과 함께 소상강(瀟湘江)에 빠져 죽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상비죽(湘妃竹) - 상죽(湘竹)
상수(湘水)의 대나무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뜻함.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었을 때 두 비(妃)인 아황과 여영이 상수에서 흘린 눈물이 대줄기를 얼룩지게 하였다 해서 남편을 따라 죽은 두 비의 절개를 상징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상빙군(尙聘君) - 상붕남(尙鵬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범허정(泛虛亭) 상진(尙震)의 아들로, 강계 부사(江界府使)를 지낸 이제신(李濟臣)의 장인.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였지만 32세의 나이로 죽음. 시서(詩書)에 능했음.
1511~154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