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사(祥祀) - 상제(祥祭)
상례(喪禮)의 일종으로, 사망한 날로부터 만 2년이 되는 두 번째 기일(忌日)인 대상(大祥)에 지내는 제사.
법제>의례>가례
-
상사목(相思木) - 연리지(連理枝)
한 나무의 가지가 다른 나무의 가지와 연결되어 가지가 서로 얽힌 것으로, 부부의 애정이 지극함을 이르는 말.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 한빙(韓凭)과 그의 아내의 고사에서 유래하며, 백거이(白居易)의 시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상산(商山)@박충간 - 박충간(朴忠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박세훈(朴世勳)의 아들. 재령 군수(載寧郡守)로 있을 때 한준(韓準)ㆍ이축(李軸)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오르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산(商山)@상주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산(常山) - 안고경(顔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상산군(常山郡)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종제(從弟)인 안진경(顔眞卿)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반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자 붙잡혀 낙양(洛陽)으로 압송된 뒤 죽임을 당함.
692~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산(象山) - 곡산(谷山)
황해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고향.
황해도>곡산 , 지명>행정지명
-
상산(象山)@육구연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산객(商山客)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상산군(商山君)@박충간 - 박충간(朴忠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박세훈(朴世勳)의 아들. 재령 군수(載寧郡守)로 있을 때 한준(韓準)ㆍ이축(李軸)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오르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산군(商山君) - 김득제(金得齊)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개경(開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우왕 때에도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상산군(商山君)@이계보 - 이계보(李繼保)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으로, 완성군(莞城君) 이귀정(李貴丁)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상산군(商山君)@김수 - 김수(金需)@고려전기
고려 전기의 문신. 상산김씨(商山金氏)의 시조. 보윤(甫尹)을 지냈고 상산군(商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상산군(商山君)@황효원 - 황효원(黃孝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황사간(黃士幹)의 아들. 성격이 각박하여 수령(守令)을 종처럼 대하고 처첩(妻妾)으로 인한 소송(訴訟)이 그치지 않았으며, 재화를 탐하여 화가옹(貨家翁)이라 불림.
1414~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산노씨(象山盧氏) - 곡산노씨(谷山盧氏)
중국 당(唐) 나라 때의 한림학사(翰林學士) 노수(盧穗)를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초에 입사(入仕)하여 곡산백(谷山伯)에 봉해진 그의 아홉째 아들 노원(盧垣)을 득관조(得貫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집단>성씨
-
상산령(象山令) - 이성동(李性仝)
조선 전기의 종친. 김순고(金舜皐)의 장인으로, 상산령(象山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상산로(商山老)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상산백발(商山白髮)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산부원군(商山府院君) - 김비궁(金匪躬)
고려 전기의 문신. 김희일(金希逸)의 아들.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냈고,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어, 상산부원군(商山府院君)에 봉해짐.
1040~?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상산부원군(象山府院君) - 강윤성(康允成)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상산백(象山伯) 강서(康庶)의 아들로, 이부 시랑(吏部侍郞)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냄. 조선 태조의 계비(繼妃)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상산사노인(商山四老人)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