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산선생문집(象山先生文集) -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인 육구연(陸九淵)의 시문집. 36권 16책. 목판본. 1205년 아들 육지지(陸持之)가 자료를 수집하여 찬하였고, 1212년 원섭(袁燮)이 간행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간(重刊)됨.
121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상산수(商山叟)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상산수(商山守) - 이계보(李繼保)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으로, 완성군(莞城君) 이귀정(李貴丁)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상산육씨(象山陸氏)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산전집(象山全集) -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인 육구연(陸九淵)의 시문집. 36권 16책. 목판본. 1205년 아들 육지지(陸持之)가 자료를 수집하여 찬하였고, 1212년 원섭(袁燮)이 간행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간(重刊)됨.
121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상산주씨(商山周氏) - 상주주씨(尙州周氏)
통일신라 원성왕(元聖王) 때 당(唐) 나라의 사신으로 우리나라에 왔다가 귀화한 주이(周頤)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상주 , 인명>집단>성씨
-
상산호(商山皓)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상서(尙書)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상서주(尙書註) - 상서주(尙書注)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인 조맹부(趙孟頫)의 저서.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상서채전(尙書蔡傳) - 서경집전(書經集傳)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채침(蔡沈)이 편찬한 《상서(尙書)》의 주해서(註解書). 6권. 저자가 스승인 주희(朱熹)의 명을 받아 편찬하였으며, 1313년에 과거(科擧)의 기본서로 정해져 세상에 널리 유통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상설고문진보(詳說古文眞寶) -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
고려 후기의 문신인 전녹생(田祿生)이 중국에서 구입한 《고문진보(古文眞寶)》에 산증(刪增)을 가하여 만든 것을 바탕으로, 조선 문종(文宗) 때 경오자(庚午字)로 간행한 책.
1452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상성(尙星) - 김상성(金尙星)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김시환(金始煥)의 아들. 13세에 영평(永平)의 〈금수정기(金水亭記)〉를 지어 신동(神童)으로 불리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703~17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성군(商城君) - 김석진(金碩振)
조선 후기의 문신. 상원군(商原君)에 추봉된 김사(金泗)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상성군(商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상성군(尙城君)@김녹 - 김녹(金祿)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세칭(世稱) 삼원수(三元帥)라 불린 김득배(金得培)ㆍ김득제(金得齊)ㆍ김선치(金先致)의 부친이며, 조선 선조(宣祖)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김귀영(金貴榮)의 10대조. 좌대언(左代言)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상성군(尙城君) - 김선치(金先致)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을 평정시켜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되어 그 형상이 벽상(壁上)에 그려짐.
1318~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상손(祥孫) - 윤상손(尹祥孫)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백연(尹伯涓)의 아들로, 훈련원 부정(訓鍊院副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사룡(鄭士龍)의 《호음잡고(湖陰雜稿)》에 그에 대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68~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무신
-
상신(商臣) - 목왕(穆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26~B.C.614. 아버지인 성왕(成王)을 시해하고 즉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상신(商辛)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신(尙信) - 이상신(李尙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우인(李友仁)의 아들이자 이상의(李尙毅)의 동생으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허엽(許曄)ㆍ윤근수(尹根壽) 등과 교유하고, 1593년(선조 26) 시폐(時弊)를 고칠 것을 상주(上奏)하였으며, 1605년(선조 38) 명(明) 나라에 가서 염초(焰硝)의 수입을 허락받음.
1564~161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신(尙新) - 이상신(李尙新)
조선 후기의 유학. 조종도(趙宗道)의 아들인 조영한(趙英漢)의 사위.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에 그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