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원군(商原君) - 김사(金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상산(商山).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김석진(金碩振)의 아버지로, 상원군(商原君)으로 추봉(追封)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상원범우(上院梵宇) - 상원사(上院寺)
강원도 평창(平昌) 진부면(珍富面)의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창건하였으며, 조선 예종(睿宗) 때 세조(世祖)의 원찰(願刹)이 됨.
705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평창 , 유적>건물>사찰
-
상원사(上願寺) - 동학사(東鶴寺)
충청남도 공주(公州)의 계룡산(鷄龍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회의화상(懷義和尙)이 상원사(上願寺)를 창건한 것이 시초로, 조선 세조(世祖) 때 사액(賜額)됨.
724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찰
-
상유자(桑楡子) - 유사규(柳思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된 유순익(柳舜翼)의 아버지로, 1562년(명종 17)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兵曹參知)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34~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윤(商尹)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윤(祥胤) - 이상윤(李祥胤)
조선 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이자, 원성군(原城君) 이탁(李倬)의 첫째 아들. 봉림수(鳳林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상은(商隱) - 이상은(李商隱)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영호초(令狐楚)에게 변려문(騈儷文)을 배웠으며, 풍부한 전고(典故)와 화려한 자구(字句)를 구사하여 당대 수사주의문학(修辭主義文學)의 극치를 보여줌.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냄.
812~85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상은(尙殷) - 신상은(辛尙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이지(履之) 신복의(辛服義)의 아버지로,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상은조(傷殷操) - 맥수가(麥秀歌)
중국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인 기자(箕子)가 멸망한 은 나라의 옛터를 지나며 읊은 노래. 옛 궁궐 터에 보리가 자라난 것을 보고 그 폐허를 슬퍼한 망국애가(亡國哀歌)임.
중국>주 , 중국 , 문헌>작품명
-
상읍(商邑)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읍(尙邑)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의(尙毅)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의(尙義) - 백충언(白忠彦)
조선 후기의 무신ㆍ의병장. 임진왜란 때 영해(寧海)에서 의병을 모아 공을 세웠으며, 용양위 좌부장(龍驤衛左部將)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상의당(尙義堂) - 백충언(白忠彦)
조선 후기의 무신ㆍ의병장. 임진왜란 때 영해(寧海)에서 의병을 모아 공을 세웠으며, 용양위 좌부장(龍驤衛左部將)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상인(上人) - 진상인(珍上人)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승려. 오품(五品) 벼슬을 지냈으나 공민왕의 승하 후, 부도(浮圖)의 법에 입문하여 승려가 되었고, 권근(權近)이 〈보암기(寶巖記)〉를 지어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관인>문신
-
상일(相一) - 권상일(權相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했으며, 이황(李滉)을 사숙하여 〈사칠설(四七說)〉을 지음.
1679~17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임(相任) - 김상임(金相任)
조선 정조(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 김무택(金茂澤)의 아들로, 1789년(정조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남공철(南公轍)과 교유함.
17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상자(商子) - 상군서(商君書)
중국 전국시대 말기 위(衛) 나라 공손앙(公孫鞅)의 저서로 전해지는 이론서. 후대에 법가(法家)가 지었다는 설도 있음. 상앙변법(商鞅變法) 이론과 그 구체적인 시책이 기재되어 있음. 한대(漢代)에는 29편이 있었으나 현재 24편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상자(尙子)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상자평(向子平)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