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장(尙長)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상저옹(桑苧翁) - 육우(陸羽)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인. 고조시가(古調詩歌)에 뛰어났으며, 특히 다도(茶道)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다경(茶經)》을 저술하였고, 후세에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짐.
733~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상전(商傳)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상절(尙節) - 신상절(辛尙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으로,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훈융 첨사(訓戎僉使)ㆍ갑산 부사(甲山府使)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무신
-
상점(尙漸) - 심상점(沈尙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8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상정(橡亭) - 황필(黃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병조 참판에 증직된 황귀수(黃龜壽)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함.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상정(橡亭)@이사증 - 이사증(李思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명종 때 초곶(草串)에 사는 야인(野人) 토벌과 임꺽정(林巨正)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무신이면서도 시(詩)에 능하였음.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상정(相定) - 김상정(金相定)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군수 김영택(金令澤)의 아들. 승지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정조가 즉위하자 정조와 사이가 나빴던 홍인한(洪麟漢)과 가까웠던 이유로 파직됨. 저서로 《석당유고(石堂遺稿)》가 있음.
1722~178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상정(祥正)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정(祥正)@민상정 - 민상정(閔祥正)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흥군(驪興君) 민지(閔漬)의 아들로, 찬성사(贊成事)에 올라 전주(銓注)를 총괄하고 관직을 개편하여 고제(古制)를 부활시킴. 청렴ㆍ공정하기로 이름이 남.
1281~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상정(象靖) - 이상정(李象靖)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여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낙향 후 안동(安東)에서 학술을 강론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함.
1711~17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 - 고금상정예문(古今詳定禮文)
고려 의종(毅宗) 때 평장사(平章事) 최윤의(崔允儀) 등 17명의 신하가 왕명으로 고금(古今)의 예문(禮文)을 모아 편찬한 예서(禮書). 50권. 1234년(고종 21)에 최초의 금속활자본으로 출판하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음.
1234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상정예문(詳定禮文) - 고금상정예문(古今詳定禮文)
고려 의종(毅宗) 때 평장사(平章事) 최윤의(崔允儀) 등 17명의 신하가 왕명으로 고금(古今)의 예문(禮文)을 모아 편찬한 예서(禮書). 50권. 1234년(고종 21)에 최초의 금속활자본으로 출판하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음.
1234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상정옹(橡亭翁) - 황필(黃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병조 참판에 증직된 황귀수(黃龜壽)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함.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상제례문답(喪祭禮問答) - 계문상제례문답(溪門喪祭禮問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의 저서. 예(禮)에 관한 서신을 모아 엮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상제문답(喪祭問答) - 계문상제례문답(溪門喪祭禮問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의 저서. 예(禮)에 관한 서신을 모아 엮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상조(尙祖) - 정상조(鄭尙祖)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의 다섯째 아들이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정세호(鄭世虎)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상조(相祚) - 유상조(柳相祚)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도사(都事)를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들로, 1794년(정조 18)에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763~18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종(商宗) - 고종(高宗)@은
중국 은(殷) 나라의 제23대 왕. 부열(傅說)과 감반(甘盤)을 등용하여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은 나라 최대 번영기를 누림.
B.C.1254~?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종(相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