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구암서원(龜巖書院)@광주
조선 현종(顯宗) 때 경기도 광주(廣州)에 건립한 서원. 이집(李集)ㆍ이양중(李養中)ㆍ정성근(鄭誠謹)ㆍ정엽(鄭曄)ㆍ오윤겸(吳允謙)ㆍ임숙영(任叔英) 등 6명을 배향함.
16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암서원(龜巖書院)@대구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서원. 서성(徐渻)ㆍ서거정(徐居正) 등을 배향함.
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암유고(久菴遺稿)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구암(久菴) 한백겸(韓百謙)의 문집. 2권 1책. 1640년(인조 18)에 아들 한흥일(韓興一)이 간행함.
164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암일고(龜巖逸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구암(龜巖) 황효공(黃孝恭)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구암정사(龜巖精舍)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구암(龜巖) 이정(李楨)이 경상도 사천(泗川)에 지은 건물 이름. 이정이 낙향하여 후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 동재(東齋)는 거경재(居敬齋), 서재(西齋)는 명의재(明義齋)라 이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유적>건물>사제
-
구암집(久菴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김취문(金就文)의 문집. 1791년(정조 15)에 후손 김태화(金泰和)가 편집 간행함.
179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암집(龜巖集)@김충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충갑(金忠甲)의 문집. 1812년(순조 12)에 후손 김우원(金禹元)이 간행함.
181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암집(龜巖集)@이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정(李楨)의 문집. 원집(原集) 2권은 1640년(인조 18)에, 속집(續集) 2권은 1748년(영조 24)에, 별집(別集) 2권은 1902년(광무 6)에 각각 간행됨.
164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야자(歐冶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검(劍)을 만든 장인(匠人). 월왕(越王)을 위해 거궐(巨闕)ㆍ담로(湛盧)ㆍ승사(勝邪)ㆍ어장(魚腸)ㆍ순구(純鉤)의 5검을 만들고, 초왕(楚王)을 위해 용연(龍淵)ㆍ태아(太阿)ㆍ공포(工布)의 3검을 만듦.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구양(具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구성로(具成老)의 아들이며 구치홍(具致洪)ㆍ구치관(具致寬)의 아버지. 공주 목사(公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양건(歐陽建)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상서랑(尙書郞)ㆍ풍익 태수(馮翊太守) 등을 지냈으나, 석숭(石崇)의 조카라는 이유로 조왕(趙王)에게 피살됨.
269~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양문충공집(歐陽文忠公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구양수(歐陽脩)의 문집. 159권 48책. 목판본. 남송(南宋)의 문인인 주필대(周必大)가 편집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구양백호(歐陽伯虎)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시(詩)에 뛰어났으며,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와 시를 수창(酬唱)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양순(歐陽詢)
중국 수(隨) 양제(煬帝)~당(唐)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당 고조(高祖)가 즉위한 후에 급사중(給事中)으로 발탁되고, 태자솔경령(太子率更令)ㆍ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사람들로부터 해법(楷法)의 극칙(極則)이라 하여 칭송됨.
557~64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구양철(歐陽澈)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국지사(憂國之士)로 진동(陳東)과 더불어 대신(大臣)을 비난하는 상소를 올려 직언(直言)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함.
1091~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구양첨(歐陽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 한유(韓愈)ㆍ이강(李絳) 등과 더불어 육지(陸贄)의 방(榜)에 나란히 합격하여 용호방(龍虎榜)이라는 말이 유래함.
756~80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구양통(歐陽通)
중국 당(唐) 고종(高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구양순(歐陽詢)의 아들로, 아버지 못지않게 글씨로써 이름을 날림. 중서사인(中書舍人)ㆍ사예경(司禮卿) 등을 지냈으며 발해공(渤海公)에 봉해짐.
?~691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구양현(歐陽玄)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내고, 《경세대전(經世大典)》ㆍ《사조실록(四朝實錄)》을 편찬하였으며, 《요사(遼史)》ㆍ《금사(金史)》ㆍ《송사(宋史)》의 찬수 총재관(撰修總裁官)을 맡음.
1273~135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언령(具鶠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구겸(具謙)의 아들이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동생으로, 《백담집(栢潭集)》에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