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종사(尙宗師)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상주(上州)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주(商周) - 은주(殷周)
중국 고대 왕조(王朝)인 은(殷) 나라와 주(周) 나라를 함께 부르는 말. 요순(堯舜)의 시대를 이어받은 이상적인 정치시대를 말함. 혹은 걸(桀)을 멸한 은 나라의 탕(湯)과 주(紂)를 멸한 주 나라의 무왕(武王)이 중국의 질서를 바로 잡았기 때문에 폭군ㆍ폭정을 제거한 사람을 말하기도 함.
B.C.1600~B.C.771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상주(商州)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주(湘州)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주(相周) - 송상주(宋相周)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5대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상주김씨(尙州金氏) - 상산김씨(商山金氏)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후손으로 고려 때 보윤(甫尹)을 지낸 김수(金需)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상주 , 인명>집단>성씨
-
상준(尙俊) - 이상준(李尙俊)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의(李艤)의 아들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이인량(李寅亮)에게 출계함. 1609년(광해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15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중(尙中)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중(尙重) - 최상중(崔尙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최영(崔穎)의 아들이며, 유희춘(柳希春)의 문인. 임진왜란 때 도원수 권율(權慄)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보필하고,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지냄.
1551~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상지(尙之)@민선 - 민선(閔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냈으며,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최영경(崔永慶)의 처벌을 주장하다 탄핵을 받아 좌천됨. 이이(李珥)와 교우가 깊었음.
1539~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지(尙之)@강사상 - 강사상(姜士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1568년(선조 1) 조광조(趙光祖)의 신원과 추숭을 건의했으며, 이조 판서ㆍ한성부 판윤ㆍ우의정 등을 지냄.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지(尙之) - 정경(鄭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낸 정순인(鄭純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상지(尙之)@하상지 - 하상지(何尙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 학식과 덕망이 높아 문제에게 총애를 받았으며, 상서령(尙書令) 등을 지냄.
382~46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지(尙志)@낙상지 - 낙상지(駱尙志)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조선의 선봉장(先鋒將)으로 의주를 지켰으며, 용력(勇力)이 뛰어나 천 근(斤)을 들어 낙천근(駱千斤)이라 불렸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상지(尙志) - 이사점(李思點)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에 대한 명자설(名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상지(尙志)@배상지 - 배상지(裵尙志)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려 말에 정국(政局)이 혼란해지자 안동(安東)의 금계(金溪)에 은거하였으며, 조선 초에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1351~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지(相之) - 신숙서(申淑胥)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端宗)이 폐위된 후 충절을 지켰으며, 계룡산(鷄龍山) 동학사(東鶴寺)의 초혼각(招魂閣) 동무(東撫)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상지(祥之)@봉천상 - 봉천상(奉天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희릉 참봉(禧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기묘사화에 조광조의 일당으로 연좌되어 삭탈관직되고 안당(安瑭)과 함께 변란을 모의했다는 죄로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상지(祥之) - 목치상(睦致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생원(生員) 목승평(睦昇平)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