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지(祥之)@오상 - 오상(吳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문장에 뛰어나 8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12~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직(尙直) - 홍상직(洪尙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마천(麻川) 홍일동(洪逸童)의 아버지로, 경성 절제사(鏡城節制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무신
-
상진(尙晉) - 심상진(沈尙晉)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8대손이며, 음직(蔭職)으로 감찰(監察)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상진(尙進) - 선상진(宣尙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보성(寶城). 중종(中宗) 때의 생원 선우윤(宣遇贇)의 아버지로, 통례문 통찬(通禮門通贊)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상질(尙質) - 한상질(韓尙質)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아들이며, 한명회(韓明澮)의 조부. 예문춘추관 대학사(藝文春秋館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후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조선(朝鮮)이란 국호를 승인받음.
?~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상집(商楫)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채(上蔡) - 사양좌(謝良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제자로, 정좌(靜坐)와 거경(居敬)의 수양을 강조함. 북송(北宋) 말 구법당(舊法黨)에 대한 탄압 사건에 연좌되어 평민으로 폐해짐.
1050~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채사씨(上蔡謝氏) - 사양좌(謝良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제자로, 정좌(靜坐)와 거경(居敬)의 수양을 강조함. 북송(北宋) 말 구법당(舊法黨)에 대한 탄압 사건에 연좌되어 평민으로 폐해짐.
1050~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철(尙喆) - 김상철(金尙喆)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김시혁(金始爀)의 아들로, 영의정 등을 지냄. 1770년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를 편찬하게 하고, 《신묘중광록(辛卯重光錄)》을 편집, 간행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초(尙初) - 박숭원(朴崇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寶劍)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올랐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초(湘楚)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상초리(霜草里) - 서초리(瑞草里)
서울 서초(瑞草)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 때 왕씨(王氏)들의 집단 거주지로 삼았던 지역으로, 조선 말까지 경기도 과천(果川)에 속하였음.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상촌(桑村)@김자수 - 김자수(金自粹)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대사성(大司成)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내다가 고려가 망하자 안동에 은거하던 중 자결함. 문하에 박흥생(朴興生)ㆍ박흥거(朴興居) 등이 있음.
1350~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상촌(桑村) - 노숭(盧嵩)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검교우의정(檢校右議政)에 이르렀음.
1337~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촌(象村)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촌고(象村稿) - 상촌집(象村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흠(申欽)의 시문집. 63권 22책. 활자본. 1629년(인조 7) 아들 신익성(申翊聖)이 간행하고, 1636년에 중간함. 권두에 이정구(李廷龜)ㆍ장유(張維)ㆍ김상헌(金尙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명길(崔鳴吉)ㆍ이민구(李敏求)의 발문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상촌문집(象村文集) - 상촌집(象村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흠(申欽)의 시문집. 63권 22책. 활자본. 1629년(인조 7) 아들 신익성(申翊聖)이 간행하고, 1636년에 중간함. 권두에 이정구(李廷龜)ㆍ장유(張維)ㆍ김상헌(金尙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명길(崔鳴吉)ㆍ이민구(李敏求)의 발문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상촌선생문집(象村先生文集) - 상촌집(象村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흠(申欽)의 시문집. 63권 22책. 활자본. 1629년(인조 7) 아들 신익성(申翊聖)이 간행하고, 1636년에 중간함. 권두에 이정구(李廷龜)ㆍ장유(張維)ㆍ김상헌(金尙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명길(崔鳴吉)ㆍ이민구(李敏求)의 발문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상충(尙衷) - 박상충(朴尙衷)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친명책(親明策)을 주장하여 북원(北元)과 통하는 것을 반대하고, 친원파인 이인임(李仁任)ㆍ지윤(池奫)의 주살을 주장하여 귀양가다 죽음. 경사에 해박하고 글을 잘 지음.
1332~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치(尙治) - 조상치(曺尙治)
조선 중종(中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학자 조한보(曺漢輔)의 할아버지로, 길재(吉再)ㆍ이안유(李安柔)의 문인.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 등을 지냈으며,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사직하고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