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남(星南) - 장문보(張文輔)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진주 목사(晉州牧使)가 되었을 때 혜정(惠政)을 베풀어 칭송이 높았음.
1516~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성녕군(誠寧君) - 성녕대군(誠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넷째 아들.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
1405~14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성능(聖能) - 정치화(鄭致和)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아버지. 세자시강원보덕(世子侍講院輔德)으로 심양(瀋陽)에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보필함. 좌의정(左議政)을 지내고, 서인과 남인의 대결에서 중도를 지킴.
1609~167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성달(成達) - 이성달(李成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명효(李明孝)의 아버지로,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성담(性潭) - 송환기(宋煥箕)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이며 송능상(宋能相)의 문인으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집으로 《성담집(性潭集)》이 있음.
1728~180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담선생집(性潭先生集) - 성담집(性潭集)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환기(宋煥箕)의 시문집. 32권 16책. 목활자본. 고종(高宗) 재위 기간 내, 즉 1891~1907년 사이에 간행됨.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성대(成大) - 범성대(范成大)
중국 송(宋)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시인. 시에 능하여 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ㆍ우무(尤袤) 등과 더불어 중흥사대시인(中興四大詩人)으로 일컬어짐.
1126~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대동(成大同) - 성수익(成壽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장흥고 영(長興庫令)을 지낸 성예원(成禮元)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비를 호종함.
152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대임(成大任) - 성식(成軾)
조선 전기의 유학.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집(玉峯集)》에 〈성대임가유별(成大任家留別)〉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성대효(成大孝) - 성세운(成世雲)
조선 전기의 인물. 노수신(盧守愼)의 《소재집(穌齋集)》에 집으로 돌아가는 그에게 가서(家書)를 전하며 지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덕구(成德久) - 성수익(成壽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장흥고 영(長興庫令)을 지낸 성예원(成禮元)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비를 호종함.
152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덕신공(聖德神功)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덕신공공정(聖德神功恭定)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덕신공문무광효(聖德神功文武光孝)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덕신공문무황제(聖德神功文武皇帝) - 세조(世祖)@원
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 중국 원(元) 나라의 시조. 재위 1260~1294.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예종(睿宗)의 아들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遠征)하여 대제국을 건설함.
1215~1294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도(成度) - 조효문(曺孝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참판 조혼(曺渾)의 아들. 세조의 즉위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짐. 악학도감 제조(樂學都監提調)를 겸하면서 악률(樂律)을 개정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도(星道)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도왕(成都王) - 사마영(司馬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열여섯째 아들. 교지명(喬智明)과 육기(陸機)를 발탁하여 장군으로 등용하고, 무제가 죽은 후 팔왕(八王)의 난(亂)에 참여하여 한때 권력을 가졌으나 곧 실각하여 목매어 자살함.
279~30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성돈로(成遯老) - 성세창(成世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났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
1481~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동(性仝) - 이성동(李性仝)
조선 전기의 종친. 김순고(金舜皐)의 장인으로, 상산령(象山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