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리군서(性理群書) - 성리군서구해(性理群書句解)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웅절(熊節)의 저서. 23권. 송 나라 유학자들이 남긴 글과 학파의 계통, 유명 문인들의 글을 분류하여 편집한 책으로, 현재는 3권 1책만 남아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리대전서절요(性理大全書節要) - 성리대전절요(性理大全節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정국(金正國)의 저서. 4권 4책. 금성목활자판(錦城木活字板). 명(明) 나라 호광(胡廣) 등이 쓴 《성리대전(性理大全)》에서 중요한 부분만 간추려 중종 때 편집ㆍ간행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성리자의(性理字義) - 자의상강(字義詳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순(陳淳)의 저서. 성리학의 개념과 범주를 해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리전서(性理全書) - 성리대전(性理大全)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 때 왕명으로 호광(胡廣) 등이 성리학설을 집대성하여 편집한 책. 총 70권. 25권까지는 송대 학자의 중요한 저술을 수록하였고, 26권 이하는 주제별로 여러 학자의 학설을 분류ㆍ편집함.
141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림(成林) - 이성림(李成林)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우왕 때 권신인 이인임(李仁任)을 해치려 하였다는 혐의로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유배되었으며, 임견미(林堅味) 등과 함께 최영(崔瑩)에게 죽임을 당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성립(誠立) - 이성립(李誠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응천(李應千)의 아들로,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함.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냈으며, 어머니의 죽음을 슬퍼하다가 병을 얻어 38세에 죽음.
1573~1611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관인>문신
-
성명숙(成明肅) - 성준(成俊)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순조(成順祖)의 아들로, 좌의정ㆍ영의정 등을 지냄. 1495년(연산군 1) 시폐십조(時弊十條)를 주청하는 등 난정(亂政)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함.
1436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명왕(聖明王) - 성왕(聖王)
백제 제26대 왕. 재위 523~554. 무녕왕(武寧王)의 아들이며, 위덕왕(威德王)의 아버지. 538년(성왕 16)에 사비(泗沘)로 천도(遷都)하는 등 왕권강화 정책을 계속함.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유역의 탈취에 성공하였으나, 신라의 배신으로 전사(戰死)함.
?~554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성명원효황제(聖明元孝皇帝) - 문종(文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13대 황제. 재위 1329~1332. 북방 영주파(領主派)가 추대한 태정제(泰定帝)가 죽자 연철목아(燕鐵木兒) 등 궁정관료파의 옹립으로 황제에 오름.
1304~1332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명학(性命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성모소성자수황태후(聖母昭聖慈壽皇太后) - 효강장황후(孝康張皇后)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인 효종(孝宗)의 비(妃).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성모왕대비(聖母王大妃)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성목(聖穆) - 목조(穆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고조부. 전주(全州)의 토호였으나 가솔과 토착인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三陟)ㆍ의주(宜州) 및 남경(南京) 알동(斡東)으로 이주하여 큰 세력을 형성함. 태조가 즉위하여 추존함.
?~1274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의주ㅣ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왕실>국왕
-
성목경문효제(聖穆景文孝帝) - 소종(昭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9대 황제. 재위 888~904. 재임 중 번진(蕃鎭)의 세력다툼과 잦은 농민봉기로 인해 실권을 잃고 결국에는 시해됨.
867~90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묘(成廟) - 성종(成宗)@고려
고려 제6대 왕. 재위 981~991. 중앙에 3성(省) 6부(府)를 설치하고, 지방에 12목(牧)과 10도(道)를 설치하여 유교정치 이념에 의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마련함.
960~9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성묘(成廟)@성종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묘(聖廟)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성묘(聖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성묘실록(成廟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조선 제9대 왕 성종(成宗) 재위 26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춘추관 영사(春秋館領事) 신승선(愼承善) 등이 주관하여 1499년(연산군 5)에 완성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성무(成武) - 박성무(朴成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