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무(聖廡)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성무(聖武) - 태조(太祖)@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蒙古) 제국의 창시자. 재위 1206~1227. 몽고를 통일하고 원 나라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여 칭기즈칸으로 일컬어지며, 원을 세운 손자 세조(世祖)에 의해 태조로 추존됨.
1155?~122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묵(性默) - 최제우(崔濟愚)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창시자로, 풍수사상과 유(儒)ㆍ불(佛)ㆍ선(仙)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人乃天)을 주장함.
1824~186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경상도>양산ㅣ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성문(城門) - 성문(聲聞)
석가(釋迦)의 가르침을 듣고서 수행하는 사람. 모든 불제자(佛弟子)를 이르는 말에서 출가한 수행승(修行僧)만을 부르는 말로 변하였으며, 대승(大乘)에서는 자기만의 수양에 힘써 아라한(阿羅漢)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봄.
사상>술어>핵심어
-
성문(聖文) - 김광헌(金光憲)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의성(義城). 1759년(영조 3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영남학파(嶺南學派)의 대학자인 이상정(李象靖)ㆍ이광정(李光靖) 형제와 교유함.
17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ㅣ인명>문사>문인
-
성문간(成文簡)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문박(成文溥) - 성문준(成文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둘째 아들로, 성혼이 무욕(誣辱)을 당하자 임천(林泉)에 은거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냄. 박학다식하며 글씨에 능함.
1559~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문엄(成文淹) - 성문영(成文泳)
조선 명종(明宗) 때의 인물.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맏아들로, 어려서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문예덕광무홍효황제(聖文睿德光武弘孝皇帝) - 희종(僖宗)
중국 당(唐) 나라의 제18대 황제. 재위 873~888.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재위 중에 황소(黃巢)의 반란군이 장안(長安)을 침략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음.
862~88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문흠효황제(聖文欽孝皇帝) - 인종(仁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1311~1320. 문예정책에 힘을 기울이고, 중국인과 몽골인 간의 관직을 평등하게 분배함.
1286~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물(成物) - 소수(蘇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양(蘇世讓)의 아들. 음사(蔭仕)로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1517~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성미(成味) - 임성미(林成味)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밀직부사(密直副使)ㆍ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를 무찌른 공으로 삼사우사(三司右使)에 제수됨.
?~13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성민(聖民) - 봉성민(奉聖民)
조선 전기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감찰(監察)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성민(聖民)@홍성민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백(成伯)@윤집 - 윤집(尹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형갑(尹衡甲)의 아들로,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청(淸)과의 화의를 적극 반대하다가 오달제(吳達濟)ㆍ홍익한(洪翼漢)과 함께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가 순절함.
1606~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백(成伯) - 기경인(奇敬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기대정(奇大鼎)의 첫째 아들로, 1573년(선조 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성백(聲伯) - 유보(劉黼)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백(誠伯)@신사헌 - 신사헌(愼思獻)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1558년(명종 1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서 뇌물을 바쳐 급제한 사실이 있으나 권신인 이량(李樑)을 섬겨 다음해에 복과(復科)됨. 후에 육간(六奸)으로 지목되어 거제에 유배됨.
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백(誠伯)@이효원 - 이효원(李效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이관(李瓘)의 아들.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며, 광해군(光海君)을 폐위시키고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거제도로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남.
1550~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성백(誠伯) - 유치명(柳致明)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유회문(柳晦文)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만우재(晩愚齋)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함.
1777~18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