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번(成蕃) - 박성번(朴成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무장(茂長). 박윤신(朴允新)의 아버지로, 어모장군(禦侮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무신
-
성범(成範) - 우성범(禹成範)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본관은 단양(丹陽). 우현보(禹玄寶)의 손자이자, 우홍수(禹洪壽)의 아들로, 공양왕의 둘째 딸 정신궁주(貞信宮主)와 혼인함. 공양왕이 폐위되자 다른 부마들과 함께 개경(開京)의 회보문(會寶門) 밖에서 참수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성범(成範)@박성범 - 박성범(朴成範)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에게 청운(靑雲)이란 소자(小字)를 받았으며, 수직(壽職)으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1568~165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성벽(成壁) - 김성벽(金成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김송무(金松茂)의 아들이며, 김응회(金應會)의 아버지로, 광양 훈도(光陽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벽(成璧) - 김성벽(金成璧)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성보(城圃) - 임수창(林壽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종 때 밀양 부사(密陽府使)로 선정을 베풀고, 공조 참의(工曹參議)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6~150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성보(成甫)@윤유기 - 윤유기(尹惟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아버지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ㆍ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보(成甫)@신성하 - 신성하(申聖夏)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으로, 문장이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성보(成甫) - 김덕곤(金德鵾)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김덕룡(金德龍)의 동생.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성보(成甫)@정만석 - 정만석(鄭晩錫)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관서위무사(關西慰撫使)로 파견되고, 평안 감사(平安監司)가 되어 홍경래 관련 죄인들의 문초를 담당함.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758~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보(盛甫) - 남진(南振)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일찍이 학문(學問)에 뜻을 두어 독학(篤學)하여 도학(道學)에 능했으며, 후진 양성에 힘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성보(聖甫) - 김경서(金景瑞)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를 도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부원수(副元帥)로 출정하였다가 패한 뒤 강홍립(姜弘立)과 함께 항복하였으며, 몰래 적정(敵情)을 기록하였다가 발각되어 처형됨.
1564~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관인>무신
-
성보(誠甫)@이경진 - 이경진(李景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로, 남부 참봉(南部參奉) 이선(李璿)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조카.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59~159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성보(誠甫) - 민효열(閔孝悅)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외읍(外邑)의 공물을 대납한 일로 폐고불서(廢錮不敍)에 처해졌다가 서용(敍用)되었으며,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05~148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부(誠夫) - 박상충(朴尙衷)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친명책(親明策)을 주장하여 북원(北元)과 통하는 것을 반대하고, 친원파인 이인임(李仁任)ㆍ지윤(池奫)의 주살을 주장하여 귀양가다 죽음. 경사에 해박하고 글을 잘 지음.
1332~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부(醒夫) - 윤결(尹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의 정당성을 발설한 것이 빌미가 되어,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수렴청정과 윤원형(尹元衡)의 세력 확장을 비판했다 하여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51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성사(聖師)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성사(聖思) - 성근묵(成近默)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재학(才學)으로 추천을 받아 경연관(經筵官) 등을 지냈으며, 청렴강직으로 이름을 떨침.
1784~18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삭녕(成朔寧) - 성영(成瑛)
조선 전기의 문신.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냄. 정유길(鄭惟吉)의 《임당유고(林塘遺稿)》에 수창(酬唱)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성산(星山)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