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산(聖山) - 오빈(吳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 휘하에서 의병활동을 함. 진주성(晉州城)에서 싸우던 도중 성이 함락되려 하자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자결함.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됨.
1547~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성산구(星山舅) - 이윤경(李潤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명종 때 대윤(大尹) 세력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완산 부윤(完山府尹)으로서 왜구를 방어하였으며, 병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98~15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산군(星山君)@이포 - 이포(李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조년(李兆年)의 아들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등을 지냄. 여섯 아들이 모두 과거(科擧)에 올라 가문이 크게 중흥함.
1287~137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성산군(星山君)@이인복 - 이인복(李仁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백이정(白頤正)의 문인으로, 공민왕 때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우고, 단성좌리공신(端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검교시중(檢校侍中) 등을 지냄.
1308~137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산군(星山君)@이조년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성산군(星山君)@이직 - 이직(李稷)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하여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짐.
1362~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산군(星山君) - 이원구(李元具)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아버지로, 신돈(辛旽)의 총애를 받았으며, 판태복사(判太僕事) 등을 지냄.
129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성산부령(星山副令) - 이의윤(李義胤)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며 평릉부수(平陵副守) 이엄(李儼)의 아들로, 성산부령(星山副令)에 봉해짐. 1617년(광해군 9)에 이이첨(李爾瞻)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림.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이인민 - 이인민(李仁敏)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포(李褒)의 아들이며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이직(李稷)의 아버지.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내고 사후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이직 - 이직(李稷)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하여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짐.
1362~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 이장경(李長庚)
고려 후기의 향리. 성주이씨(星州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다섯 아들이 모두 동시대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침. 후에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원(元) 나라 황제로부터 농서군공(隴西郡公)에 추봉됨.
1214~?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산후(星山侯)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성상(成相) - 순황(荀況)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았고, 강력한 예치주의(禮治主義)를 주장함.
B.C.298~B.C.2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상국집(成相國集) - 허백당집(虛白堂集)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아들 성세창(成世昌)이 중종(中宗)~선조(宣祖) 연간에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성상인(成上人) - 도암(道庵)
조선 전기의 승려(僧侶). 판선종사(判禪宗事) 송은몽대사(松隱蒙大師)의 고제(高弟)로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성서(成瑞) - 이성서(李成瑞)
고려 충정왕(忠定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홍건적(紅巾賊)을 맞아 싸우고 최영(崔瑩)을 따라 흥왕사(興王寺)의 변(變)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가서 벼슬을 받음.
?~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서(聖瑞) - 백몽표(白夢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수원(水原). 무과에 급제한 후에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동래 판관(東萊判官)을 지내고,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 재직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성석(聖錫) - 왕응신(汪應辰)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거쳐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역임함. 주자(朱子)가 선인(善人)의 종주라고 칭함.
1118~117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석곡(成石谷) - 성팽년(成彭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문인. 효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면(金沔)이 창의(倡義)할 때 참모가 되어 의병활동을 했음.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석곡집(成石谷集) - 석곡집(石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성팽년(成彭年)의 문집. 1804년(순조 4)에 구연서원(龜淵書院)에서 간행됨. 2권 2책.
18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