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석연(成石珚)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선(聖善) - 인예태후(仁睿太后)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인주(仁州). 이자연(李子淵)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세 자매 모두 문종의 비가 됨. 순종(順宗)ㆍ선종(宣宗)ㆍ숙종(肅宗) 등 10남 2녀를 둠.
?~109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성성재(惺惺齋)@성황 - 성황(成鎤)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다섯째 아들로, 학문에 힘쓰고, 하진(河溍)ㆍ조임도(趙任道) 등과 교류함.
1595~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성성재(惺惺齋) - 금난수(琴蘭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장예원 사평(掌隸院司評)ㆍ봉화 현감(奉化縣監) 등을 지내고,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
1530~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세(星洗) - 이성세(李星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효민(李孝閔)의 아들이며 이성익(李星益)의 아우.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성소(惺所) - 허균(許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유성룡(柳成龍)ㆍ이달(李達)의 문인. 이이첨(李爾瞻)과 결탁하여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였으며, 반란을 계획하다 탄로되어 참수형을 당함. 명문장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인 《홍길동전(洪吉童傳)》을 씀.
1569~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소부부고(惺所覆瓿稿)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인 허균(許筠)의 시문집. 필사본. 8권 1책. 저자가 가장 불우했던 시기에 쓴 시와 산문들을 모아 엮은 것으로, 시부(詩部)ㆍ부부(賦部)ㆍ문부(文部)ㆍ설부(說部) 등 4부로 구성됨.
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열 , 문헌>서명
-
성소선(成笑仙)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손(成孫) - 탁성손(卓成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도사(都事)를 지낸 탁기(卓耆)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성손(盛孫) - 이성손(李盛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맏아들로,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성손(聖孫)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수(性叟) - 탁천성(卓天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둘째 아들로, 한성 윤(漢城尹)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성수(星宿) - 이십팔수(二十八宿)
중국에서 달의 공전주기가 27.32일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적도대(赤道帶)를 28개의 구역으로 나눈 것. 각 구역이 각각의 수(宿)를 가리킴.
자연물>천체
-
성수(聖綏) - 유혜우(柳惠遇)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제두(柳齊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성수(誠叟) - 서존(徐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구산(龜山) 양시(楊時)의 제자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며 경학(經學)을 가르쳤는데, 따르는 학도(學徒)가 천여 명이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수찬(成修撰) - 성락(成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황(李滉) 문하에서 수학함.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
154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숙(成叔) - 정문휼(鄭文遹)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희가 그에게 상례(喪禮)를 편찬하게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신(省身) - 이성신(李省身)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동생 이치신(李致身)에게 아들 이환(李桓)을 양자로 보냄.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며, 이괄(李适)의 난 때 사관으로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하고,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냄.
1580~16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성아(誠兒) - 구성윤(具誠胤)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구봉령(具鳳齡)의 아들.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성악(星嶽)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