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악(聖岳) - 성거산(聖居山)
충청도 천안 북면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왕건이 이 산을 보고 성거산이라고 부르고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짐.
충청도>천안 , 지명>자연지명
-
성안(成安)@원주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성안(成安)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안(聖安) - 유혜일(柳惠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태두(柳泰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성안재(成安齋)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암(性庵) - 전좌명(田佐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旌閭)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성암(省庵)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암(省菴)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암문집(省菴文集) - 성암유고(省菴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효원(金孝元)의 문집. 저자의 둘째 아들인 김극련(金克鍊)이 편집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성암병부(省菴病夫)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암선생유고(省菴先生遺稿) - 성암유고(省菴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효원(金孝元)의 문집. 저자의 둘째 아들인 김극련(金克鍊)이 편집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성암옹(省菴翁)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암집(省菴集) - 성암유고(省菴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효원(金孝元)의 문집. 저자의 둘째 아들인 김극련(金克鍊)이 편집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성양(成陽) - 박성양(朴成陽)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박윤후(朴允厚)의 아들.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으로, 태조(太祖) 때 왜구를 물리치고, 세종(世宗) 때 이종무(李從茂)를 따라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무신
-
성양경왕(城陽景王) - 유장(劉章)
중국 전한(前漢) 때 제(齊) 도혜왕(悼惠王)의 아들. 한(漢) 나라 초기에 여후(呂后)가 죽자, 주발(周勃)ㆍ진평(陳平) 등과 함께 여씨(呂氏)를 주벌하고 대왕(代王) 항(恒)을 제위에 추대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성양도(成羊道)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양왕(城陽王) - 유장(劉章)
중국 전한(前漢) 때 제(齊) 도혜왕(悼惠王)의 아들. 한(漢) 나라 초기에 여후(呂后)가 죽자, 주발(周勃)ㆍ진평(陳平) 등과 함께 여씨(呂氏)를 주벌하고 대왕(代王) 항(恒)을 제위에 추대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성언(聖言) - 이담룡(李耼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능성 현감(綾城縣監) 등을 지내고, 권문해(權文海)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성언(誠彦) - 이성언(李誠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찬성(左贊成) 이손(李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언소(成彦昭) - 성자항(成子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성세명(成世明)의 손자이며,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성근(成謹)의 아들.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거쳐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