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구엄(具渰)
조선 전기의 유학. 호음(湖陰) 정사룡(鄭士龍)과 망년(忘年)의 지기(知己)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구연서원(龜淵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합천(陜川)의 삼가(三嘉)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의 무신 윤탁(尹鐸)을 배향함.
16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영검(具榮儉)
고려 후기의 문신. 원(元) 나라의 장사성(張士誠)이 난을 일으켰을 때 원나라의 요청으로 유탁(柳濯)ㆍ인당(印當) 등과 함께 출전함. 부인 장씨(張氏)의 외삼촌 김성(金成)의 간교로 누명을 쓰고 참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영안(丘永安)
조선 전기의 유학. 세조(世祖) 등극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은둔함.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고, 음양(陰陽)ㆍ추보(推步)ㆍ풍수(風水)ㆍ의술ㆍ선도(仙道)ㆍ불도ㆍ승제(乘除) 등 폭넓은 학문을 연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구예(具藝)
고려 후기의 문신. 능성구씨(綾城具氏)의 비조(鼻祖). 판전의사(判典儀事)를 지냈으며, 면천(沔川)에 사패지(賜牌地)를 받고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오대사(舊五代史)
중국 송(宋) 나라의 설거정(薛居正)ㆍ노다손(盧多遜) 등이 칙명을 받들어 974년(태조 7)에 완성한 책. 이십사사(二十四史)의 하나로 중국 후오대(後五代)의 사적ㆍ문물ㆍ제도를 적음.
97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구용(具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아들로, 금화 현감(金化縣監)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필(權韠)과 함께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전쟁 중에 겪은 고뇌와 갈등을 담은 작품을 많이 남김.
156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우(瞿佑)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ㆍ문인. 주왕부(周王府) 우장사(右長史)를 지냄. 관리로서는 불우하였으나 문재(文才)가 뛰어나 《전등신화(剪燈新話)》ㆍ《귀전시화(歸田詩話)》 등 시ㆍ소설 분야에서 많은 저작을 남김.
1347~142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운몽(九雲夢)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인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고대소설. 한국 고대소설 문학사에 있어 형식ㆍ내용면에서 새로운 획을 그은 작품으로 꼽힘.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구월산(九月山)
황해도 은율(殷栗)ㆍ안악(安岳)에 걸쳐 있는 산. 단군(檀君)이 도읍을 옮긴 뒤 은퇴한 아사달산(阿斯達山)이 이 산이라는 설 등 단군의 신적(神迹)이 남아 있음.
황해도>은율ㅣ황해도>안악 , 지명>자연지명
-
구위(具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등을 역임하고 뒤에 문하정승(門下政丞)에 추증(追贈)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유온(仇有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 학생(學生) 구석종(仇碩種)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구의(口義)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임희일(林希逸)이 1258년에 완성한 《장자(莊子)》 주석서. 조선의 유학자들이 장자 사상 연구에 이 책을 널리 이용함.
125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구의산(九疑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원현(寧遠縣) 남쪽에 있는 산 이름. 구봉(九峯)이 서로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워 사람의 마음이 헤아리기 어려움을 비유함. 순(舜) 임금을 이곳에 장사지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구익부인(勾弋夫人)
중국 전한(前漢)의 황제 소제(昭帝)의 어머니. 무제(武帝)의 후궁으로 외척의 발호를 염려한 무제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고 함. 소제 즉위 후 효소태후(孝昭太后)에 추존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구인기(具仁基)
조선 인조(仁祖)의 문신.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낸 구성(具宬)의 아들로, 배천 군수(白川郡守)ㆍ죽산 부사(竹山府使)를 지냈음.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훈련원(訓練院) 장관(將官)들과 더불어 화친을 반대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인기(具仁墍)
조선 광해군(光海君)~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조의 모후(母后)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조카로,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벼슬이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97~16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구인손(具麟孫)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구수영(具壽永)의 서자로, 연산군(延山君) 김준손(金浚孫)의 서녀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구인후(具仁垕)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무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국왕을 호위한 공으로 어영대장(御營大將)이 되고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됨. 벼슬은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578~16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구일(具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공조 판서 구인기(具仁墍)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으로 있을 때 묵은 땅을 개간하는 등 치적이 있었고,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20~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