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언직(成彦直) - 성자청(成子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성근(成謹)의 아들이며, 담양 부사(潭陽府使) 성자항(成子沆)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성여(聖與)@신점 - 신점(申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사은사(謝恩使)로 명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병부 상서 석성(石星)을 움직여 요동(遼東)의 군대 3,000명을 파견하게 함.
15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여(聖與)@이영도 - 이영도(李詠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과 싸웠고, 전재민(戰災民) 구호와 군량미를 조달하여 명관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현풍 현감(玄風縣監) 때 뛰어난 치적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음.
1559~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성여(聖與) - 오결(吳潔)@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사서변의(四書辨疑)》를 저술하였으며, 현릉 참봉(顯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성연(聖淵) - 신광수(申光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고령(高靈). 1746년(영조 22)에 관산융마(關山戎馬)란 시(詩)로 급제했는데, 이 시는 당시 과시(科詩)의 모범이 됨. 1774년(영조 50)에 관서지방의 풍속ㆍ고적ㆍ고사 등을 소재로 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으며, 《석북집(石北集)》을 남김.
1712~17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오(省吾)@유정 - 유정(劉綎)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유현(劉顯)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참전하여 동일원(董一元)과 함께 제독(提督)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크게 활약함. 후에 요동(遼東)에서 후금(後金)을 정벌하던 중 전사함.
?~161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성오(省吾) - 권성오(權省吾)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권호신(權虎臣)의 아들로, 1612년(광해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름. 저서로 《동암집(東巖集)》이 있음.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오당(省吾堂) - 이개립(李介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해(李𥩲)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효행(孝行)과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함.
1546~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성온(成溫) - 변성온(卞成溫)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으로, 장성(長城)에 필암서원(筆巖書院)의 건립을 주도함.
15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문인
-
성옹(醒翁) - 김덕함(金德諴)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홍(金洪)의 아들로,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반대하여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직되어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성와(城窩) - 박하청(朴河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하담(朴河淡)의 아우로, 성수침(成守琛)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성와(惺窩) - 등원성와(藤原醒窩)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 초기의 유학자로, 일본 근세 유학의 아버지. 7세 때 출가하여 선학(禪學)과 한학을 배움. 조선의 국사(國使)인 허성(許筬) 등과 교유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포로로 잡혀온 주자학자 강항(姜沆)을 만나 영향을 받음.
1561~1619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문사>학자
-
성왕(成王) - 성종(成宗)@고려
고려 제6대 왕. 재위 981~991. 중앙에 3성(省) 6부(府)를 설치하고, 지방에 12목(牧)과 10도(道)를 설치하여 유교정치 이념에 의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마련함.
960~9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성왕(郕王)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우계(成牛溪)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원(性源) - 하혼(河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ㆍ오건(吳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하였고, 장수 찰방(長水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낙향 후 이안눌(李安訥) 등과 교유하며 만년을 보냄.
1548~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성원(成遠)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성원(聖遠) - 심상점(沈尙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8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성원(聲遠)@윤탁 - 윤탁(尹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박사겸(朴思謙) 등과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많은 공을 세웠으나, 진주(晉州)에서 김천일(金千鎰) 등과 함께 전사함.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성원(聲遠) - 김장(金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과(司果) 등을 역임하였으며, 유희춘(柳希春)의 손자인 유광선(柳光先)을 사위로 삼았음이 《미암일기(眉巖日記)》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