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원(聲遠)@김성원 - 김성원(金聲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조헌(趙憲)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금산 전투(錦山戰鬪)에서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산 , 인명>문사>학자
-
성원(聲遠)@김대명 - 김대명(金大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찰방(察訪) 김추(金樞)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도소모장(都召募將)이 되어 고성(固城) 의병들과 함께 왜적을 토벌하여 공을 세움.
1536~15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ㅣ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성원(誠源) - 유성원(柳誠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 등을 지냄.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성삼문(成三問)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 발각되자 성균관에서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성원군(星原君) - 이정녕(李正寧)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외척.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낸 이사후(李師厚)의 아들로, 태종(太宗)의 딸인 숙혜옹주(淑惠翁主)와 결혼하여 성원위(星原尉)에 봉작되었으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11~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성원서(姓原書) - 성원주기(姓原珠璣)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儒學者) 양신민(楊信民)이 지은 책. 조선 이황(李滉)의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에 자주 보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성원위(星原尉) - 이정녕(李正寧)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외척.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낸 이사후(李師厚)의 아들로, 태종(太宗)의 딸인 숙혜옹주(淑惠翁主)와 결혼하여 성원위(星原尉)에 봉작되었으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11~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성원주기(姓源珠璣) - 성원주기(姓原珠璣)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儒學者) 양신민(楊信民)이 지은 책. 조선 이황(李滉)의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에 자주 보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성유(聖兪)@이시직 - 이시직(李時稷)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호익(曺好益)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까지 호종함.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가 함락되자 송시영(宋時榮) 등과 함께 자결함.
1572~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유(聖兪) - 매요신(梅堯臣)
중국 송(宋) 나라의 대표적 시인ㆍ문신. 당시(唐詩)의 섬세하고 교묘한 폐풍을 버리고 고문운동(古文運動)과 관련된 시 형식을 개척하여 새로운 송시(宋詩)의 개조(開祖)가 됨.
1002~10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유(聖猷) - 민진원(閔鎭遠)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우참찬을 지낸 민진후(閔鎭厚)의 동생으로, 소론을 배격했던 노론의 거두.
1664~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성윤(成允) - 우성윤(禹成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우성전(禹性傳)의 조부.
1473~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성윤(成胤) - 탁성윤(卓成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도사(都事)를 지낸 탁기(卓耆)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성윤(聖胤) - 이성윤(李聖胤)
조선 후기의 종친. 전성군(全城君)의 증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고, 평양군(平陽君) 이의(李倚)의 첫째 아들. 1617년(광해군 9) 이이첨(李爾瞻)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
1561~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성윤(誠胤)@구성윤 - 구성윤(具誠胤)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구봉령(具鳳齡)의 아들.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성윤(誠胤) - 이성윤(李誠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때 신주(神主)를 봉안하고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됨.
1570~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성은(城隱)@유계린 - 유계린(柳桂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아버지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마음을 두지 않고 향리에서 자제들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순천 , 인명>문사>유학
-
성은(城隱) - 유성춘(柳成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좌되어 파직됨. 윤구(尹衢)ㆍ최산두(崔山斗) 등과 시주(詩酒)로 교우하며 호남삼걸(湖南三傑)로 불림.
1495~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성은(城隱)@남이흥 - 남이흥(南以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유(南瑜)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장만(張晚)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안주성(安州城) 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자결함.
1576~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성은(成殷) - 윤성은(尹成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감찰(監察)을 지내고,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성은(成隱) - 김대윤(金大潤)
고려 후기의 문신ㆍ은자. 고려 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의정신(節義精神)으로 관직을 버리고 자연에 은거하며 출사(出仕)하지 않은 팔은(八隱) 중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