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재(惺齋)@최충 - 최충(崔冲)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로, 구재학당(九齋學堂)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文敎) 진흥과 사학(私學) 발전에 크게 공헌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984~1068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재(惺齋) - 김립(金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언상(金彦庠)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에 입격하여, 의흥(義興)ㆍ초계(草溪)의 군수(郡守)를 역임했음.
1497~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재(省齋)@정순붕 - 정순붕(鄭順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을사사화 때 소윤(小尹)으로서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적극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선조(宣祖) 때 관작이 모두 추탈(追奪)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재(省齋) - 신응순(辛應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월(寧越).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는 역할을 맡기도 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예설(禮說)》 2권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
-
성재(誠齋)@홍하량 - 홍하량(洪河量)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부림(缶林). 장사랑(將仕郞) 홍수약(洪守約)의 아들이고, 장흥효(張興孝)의 문인. 유진(柳袗)ㆍ김응조(金應祖)와 도의(道義)로 교유하였으며, 정구(鄭逑)가 독학군자(篤學君子)라고 칭찬함.
1588~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
-
성재(誠齋)@김약묵 - 김약묵(金若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학문이 뛰어났으며 전라도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됨.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00~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성재(誠齋)@양만리 - 양만리(楊萬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비서감(秘書監)을 지내고, 사부(詞賦)에 뛰어나 육유(陸游)ㆍ범성대(范成大)ㆍ우무(尤袤)와 더불어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로 일컬어짐.
1127~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재(誠齋)@유탁 - 유탁(柳濯)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張士誠)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11~1371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성재(誠齋)@강응태 - 강응태(姜應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밀양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 등을 지내고, 효행이 지극하였으며, 임천서원(臨川書院)에 배향됨.
1495~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성재(誠齋) - 권고(權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조부는 찬성사(贊成事) 권단(權㫜)이며, 아버지는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 권보(權溥).
1294~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성재(醒齋)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재(醒齋)@유운 - 유운(柳雲)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공좌(柳公佐)의 아들. 기묘사화 때 대사헌(大司憲)으로서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려다가 파직당한 뒤 낙향하여 술로 울분을 달래다 죽음. 편저로 《진수해범(進修楷範)》이 있음.
1485~152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문신
-
성재병인(醒齋病人)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재양씨(誠齋楊氏) - 양만리(楊萬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비서감(秘書監)을 지내고, 사부(詞賦)에 뛰어나 육유(陸游)ㆍ범성대(范成大)ㆍ우무(尤袤)와 더불어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로 일컬어짐.
1127~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성저(星渚)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적(成績) - 화응(和凝)
중국 오대십국 후당(後唐)~후주(後周) 때의 문신. 범질(范質)이 진사(進士)가 될 때 시관(試官)이었는데, 그의 재주를 사랑하여 13등으로 급제시킴. 이는 자신이 13등으로 급제하여 대신이 되었기 때문이었는데, 훗날 범질(范質) 역시 대신이 됨.
898~955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전(性傳) - 우성전(禹性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이었다가 이발(李潑)과의 갈등으로 인해 남인(南人)의 거두가 됨.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해염(海鹽)과 식량을 조달하여 난민을 구제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성절(聖節) - 이도(李棹)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개국공신. 전의이씨(全義李氏)의 시조. 태조가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해 남하(南下)했을 때 홍수로 범람한 금강(錦江)의 도강책(渡江策)을 주도한 공로로 공신에 책록되고 전산후(全山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전의ㅣ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정(成楨) - 이성정(李成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월성군(月城君) 이철견(李鐵堅)의 아들이고, 선산 부사(善山府使) 이완(李琬)과 이호(李瑚)의 아버지. 종친부 전부(宗親府典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성정(成靖) - 이승손(李承孫)@1394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세종(世宗) 때 북변(北邊)의 이만주(李滿住)를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세조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등을 역임함.
1394~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