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정도(性情圖) -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조선 전기의 대학자 이황(李滉)이 선조(宣祖)에게 바친 성학십도(聖學十圖) 가운데 여섯 번째 도설(圖說). 심(心)ㆍ성(性)ㆍ정(情)의 성리학적 개념을 도식(圖式)으로 표현함.
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성정보(成精甫) - 성안의(成安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1624년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공주(公州)로 호종한 공로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1~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성정수삼장(誠正修三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성정수장(誠正修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성정조(誠正條)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성조(惺祖)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성조(成祖)@성종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조(聖祖)@이이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조(聖祖)@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조(聖祖)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성조사(成詔使) - 성헌(成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한림원 검토(翰林院檢討)를 지냈으며, 1568년(선조 2)에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을 지낸 왕새(王璽)와 함께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조황고(聖祖皇姑) - 선덕여왕(善德女王)
신라 제27대 왕. 재위 632~647. 진평왕(眞平王)의 딸. 선정(善政)을 베풀어 민생을 보살피고 당(唐) 나라의 문화와 불법(佛法)을 수입하였으며, 분황사(芬皇寺)ㆍ첨성대(瞻星臺)ㆍ황룡사구층목탑(皇龍寺九層木塔) 등을 건립함.
?~64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성종(盛終) - 이성종(李盛終)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셋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만년에 파주(坡州)로 내려가 유유자적함.
1474~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성종강정대왕실록(成宗康靖大王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조선 제9대 왕 성종(成宗) 재위 26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춘추관 영사(春秋館領事) 신승선(愼承善) 등이 주관하여 1499년(연산군 5)에 완성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성종대왕실록(成宗大王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조선 제9대 왕 성종(成宗) 재위 26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춘추관 영사(春秋館領事) 신승선(愼承善) 등이 주관하여 1499년(연산군 5)에 완성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성좌(誠佐) - 나신국(羅藎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생 나효종(羅孝宗)의 아들. 1566년(명종 2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정자(正字)ㆍ현감(縣監)을 거쳐 좌랑(佐郞)을 지냈으며,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함.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성주(成周) - 낙읍(洛邑)
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의 서쪽 지역에 있던 고대 서주(西周)의 수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성주(成周)@낙양 - 낙양(洛陽)
중국 하남성(河南省) 서부의 낙수(洛水)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 주(周)ㆍ후한(後漢)ㆍ삼국(三國) 등의 고도(古都)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성주(成宙) - 탁성주(卓成宙)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두첨(卓斗瞻)의 맏아들이고, 탁창주(卓昌宙)ㆍ탁경주(卓景宙)의 형이며, 탁윤(卓胤)ㆍ탁빈(卓斌)ㆍ탁건(卓健)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성주(成州) - 성천(成川)
평안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선조(宣祖)의 후궁과 여러 왕자가 난을 피해 3년 동안 머물렀던 곳.
평안도>성천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