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주(聖周) - 임성주(任聖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영조 때 시직(侍直) 등을 지내다 사직하고, 공주(公州) 녹문(鹿門)에 은거함. 주희(朱熹)의 이기론(理氣論)을 비판하고, 기일분수설(氣一分殊說)을 주장함.
1711~178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성중(成仲) - 남치리(南致利)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언기(金彦璣)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이황(李滉) 문하의 안자(顔子)라고 불리며 1578년 정구(鄭逑)와 함께 유일(遺逸)에 천거됨.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성중(成仲)@이복홍 - 이복홍(李福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충량(李忠樑)의 아들이며,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형으로, 부장(部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성중(盛仲)@이지번 - 이지번(李之蕃)@조선전기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표연말(表沿沫)ㆍ유호인(兪好仁)ㆍ최한후(崔漢侯) 등과 교유하였으며, 연산군(燕山君)의 폭정에 벼슬살이의 염증을 느끼고 낙향하여 학문에 몰두함.
1469~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중(盛仲) - 이대(李薱)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며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의 아들로, 용강 현령(龍岡縣令)ㆍ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성중(聖中) - 조원길(趙元吉)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옥천(玉川)으로, 조전(趙佺)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설장수(楔長壽)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여 1등공신이 되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짐. 고려가 망하자 순창(淳昌)으로 내려가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中)@1539 - 이성중(李誠中)@1539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현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봉해짐.
1539~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中)@1330 - 이성중(李誠中)@1330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달충(李達衷)의 동생. 고려 후기에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에 참여하여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으며, 검교 좌정승(檢校左政丞) 등을 지냄.
1330~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仲)@조우 - 조우(趙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가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방(罷榜)되었다가 음보(蔭補)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仲)@박효생 - 박효생(朴孝生)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박여헌(朴黎獻)의 아들. 임진왜란으로 불탄 실록을 복구하는 작업에 참가하고, 광해군 때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를 요청하는 정청(庭請)에 참여함.
15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仲) - 남궁침(南宮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사간원과 홍문관의 관직을 거쳐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3~15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열 , 인명>관인>문신
-
성중(誠仲)@조윤구 - 조윤구(曺允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낸 조효연(曺孝淵)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중엄(成仲淹) - 성중엄(成重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명현(名賢)들의 무고한 화를 변호하다가 인산(麟山)으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원배(遠配)된 뒤 능지처참(陵遲處斬)을 당함.
147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지(性之) - 박안성(朴安性)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영의정 박원형(朴元亨)의 아들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성지(性之)@조자지 - 조자지(趙自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죽림칠현(竹林七賢)을 자처하며 시주(詩酒)와 가무(歌舞)로 소일하였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체포되어 국문(鞫問)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성지(性之)@이선열 - 이선열(李善悅)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동고(東皐) 이준경(李浚慶)의 아들로, 부친의 임지인 관서(關西) 지방에 따라나섰다가 병을 얻어 요절함.
1531~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성지(性之)@조충손 - 조충손(趙衷孫)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육(趙育)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역모에 연루되어 고신(告身)이 추탈되고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지(性之)@왕질 - 왕질(王銍)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학자. 저서로 《운계집(雲溪集)》ㆍ《묵기(默記)》ㆍ《사륙화(四六話)》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지(性之)@정성지 - 정성지(鄭性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1172~12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지(成之)@원부 - 원부(元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충(元忠)의 할아버지. 충렬왕 때 유경(柳璥)ㆍ김구(金坵) 등과 함께 《고종실록(高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 《고금록(古今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오름.
1219~128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