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탕(成湯)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필(聖弼) - 심상진(沈尙晉)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8대손이며, 음직(蔭職)으로 감찰(監察)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성하(星河)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하(聖夏) - 신성하(申聖夏)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으로, 문장이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성학격물통(聖學格物通) - 격물통(格物通)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담약수(湛若水)가 편찬한 책. 구준(丘濬)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본떠 지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성한(星漢)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한광(成漢匡) - 성여완(成汝完)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서밀직(簽書密直)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포천(抱川)에 은거함.
1309~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성향(星鄕)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
-
성헌(惺軒)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성헌(成憲)@민성헌 - 민성헌(閔成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을 지낸 민사도(閔思道)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성헌(星軒) - 헌원성(軒轅星)
별자리 이름. 남방에 속하는 주작칠수(朱雀七宿)의 유(柳), 성(星), 장(張), 익(翼) 네 별자리에 걸쳐 있는 17개의 별. 황제(黃帝)의 모성(母星)이라 하며, 여주(女主)를 상징함.
자연물>천체
-
성헌(省軒) - 권기(權祺)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억(權憶)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승지(承旨) 등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성헌선생일집(惺軒先生逸集) - 성헌집(惺軒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인 백현룡(白見龍)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1906년 후손에 의해 편집ㆍ간행되었으며, 권두에 이만도(李晩燾)와 권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음.
1906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성현(誠懸) - 유공권(柳公權)@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자소사(太子少師)를 지내고, 해서(楷書)에 뛰어남. 주로 안진경(顔眞卿)을 본받았으나, 안진경의 글씨에 살이 많다면 유공권의 글씨에는 뼈가 많아서 흔히 안유(顔柳)라 병칭되며 세간의 주목을 받음.
778~86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성협(成浹) - 성람(成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성리학(性理學)과 의학에 밝았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조익(趙翊)ㆍ정경세(鄭經世)ㆍ이준(李埈) 등과 교유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호(星湖) - 이익(李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실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농사상(中農思想)에 기반을 두고, 한전론(限田論)ㆍ사농합일론(士農合一論) 등의 사회 개혁론을 주장함. 천문ㆍ지리ㆍ율산(律算)ㆍ의학 등에 능통하고, 저서로 《성호사설(星湖僿說)》ㆍ《곽우록(藿憂錄)》등이 있음.
1681~1763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운산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
-
성호원(成浩原)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화(成化) - 헌종(憲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1464~1487. 영종(英宗)의 아들로, 초년에는 성군(聖君)의 기질이 있었으나, 만년에는 방술(方術)에 탐닉하여 총희(寵姬) 만귀비(萬貴妃)와 향락에 빠짐.
1447~148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화(聖和) - 문성화(文聖和)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 문승조(文承祖)의 아들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성화제(成化帝) - 헌종(憲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1464~1487. 영종(英宗)의 아들로, 초년에는 성군(聖君)의 기질이 있었으나, 만년에는 방술(方術)에 탐닉하여 총희(寵姬) 만귀비(萬貴妃)와 향락에 빠짐.
1447~148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