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황(星潢)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성황제(成皇帝)@성제 - 성제(成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3대 황제. 재위 325~342.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강제(康帝)의 형.
?~34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황제(成皇帝) - 헌종(憲宗)@조선
조선 제24대 왕. 재위 1834~1849. 추존왕인 익종(翼宗)의 아들로, 여덟 살에 즉위하여 순조(純祖)의 비인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함. 재위 기간 중 세도정치(勢道政治)의 만연으로 삼정(三政)의 문란과 국정의 혼란이 가중됨.
1827~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효(成孝)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성효재(誠孝齋) - 박영(朴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한 박경신(朴慶新)ㆍ박경인(朴慶因)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내고 형조 참의(刑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성후(成侯)@추기 - 추기(鄒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위왕(威王)을 보좌하여 법률을 수정하고, 인재를 선발하는 혁신 정치를 실시하였으며, 국방을 견고히 하여 제 나라를 강국으로 만듦.
B.C.385~B.C.31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후설(成后卨) - 성후설(成後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질부(質夫) 성이문(成以文)의 손자.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ㆍ수원 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615~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휘(成輝) - 김성휘(金成輝)
조선 중종(中宗)~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훈벌가문(勳閥家門)이었으나 생활이 어려워 어려서부터 치산(治産)에 힘써 당대의 거부(巨富)가 되고, 임진왜란 때 군량미를 조달한 공으로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냄.
1535~16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세감(世勘) - 송세감(宋世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자산 군수(慈山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세갑행(洗甲行) - 세병마(洗兵馬)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가 지은 시. 48구(句) 336자(字)로 이루어진 칠언시(七言詩)로,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을 평정한 공신(功臣)을 찬양하고 영원히 전쟁이 종식되어 태평한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내용임.
757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세강(世綱) - 심세강(沈世綱)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6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세거(世擧) - 박세거(朴世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의관(醫官).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ㆍ《분문온역이해방(分門瘟疫易解方)》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의림촬요(醫林撮要)》의 보정(補訂)에 참여함.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술인>의원
-
세거(洗車) - 세거우(洗車雨)
칠석(七夕) 전날인 음력 7월 6일에 내리는 비를 일컫는 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서로 타고 갈 수레를 씻기 때문에 내리는 비라 함.
사상>현상>자연현상
-
세건(世健) - 남세건(南世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사성(大司成)ㆍ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1484~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세건(世健)@이세건 - 이세건(李世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이계완(李季完)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세건(世建) - 유세건(兪世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청풍 군수(淸風郡守)를 지낸 유형(兪炯)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세건(世楗) - 최세건(崔世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강릉(江陵). 위사공신(衛社功臣) 최연(崔演)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세걸(世傑)@남세걸 - 남세걸(南世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생원(生員) 남헌(南獻)의 아들이자 남진(南軫)의 아버지. 최숙동(崔淑仝)의 딸과 결혼함.
?~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세걸(世傑) - 김세걸(金世傑)
조선 전기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관산(冠山)으로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세걸(世傑)@문세걸 - 문세걸(文世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실린 〈도문사호(悼文士豪)〉라는 시(詩)의 원주에서 “탐라(耽羅)의 뛰어난 인물인데 요절했다”고 기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