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구정(九鼎)
중국 하(夏) 나라의 제왕인 우(禹)가 구주(九州)의 쇠를 거두어 만든 아홉 개의 솥. 두 개의 손잡이와 세 개의 발이 달린 것으로, 천자의 보물로 보전됨.
중국>하 , 중국 , 물품>기타용품>의례용품
-
구정유고(龜亭遺稿)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남재(南在)의 문집. 1675년(숙종 1) 후손 남학명(南鶴鳴) 등이 남재의 시장(詩章) 등을 모아 취미집(翠微集)을 작성하였으나 간행하지는 못하였고 1869년(고종 6)에 연보 등을 덧붙여 간행함.
18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정충록(九貞忠錄)
고려 말기에 구정충(九貞忠)으로 일컬어지던 전오륜(全五倫)ㆍ김자수(金子粹)ㆍ이행(李行) 등 고려 충신 9인의 행적이 담겨 있는 글.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구존유(具存裕)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시조. 고려에서 대광검교상장군(大匡檢校上將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중(求仲)
중국 전한(前漢)의 은자. 장후(蔣詡)ㆍ양중(羊仲)과 더불어 두릉(杜陵)에 은거하면서 정원에 세 개의 오솔길을 만들어 함께 종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구지봉(龜旨峰)
경상남도 김해(金海)에 있는 산. 가락국(駕洛國)의 시조인 수로왕(首露王) 탄생설화의 주무대.
경상도>김해 , 지명>자연지명
-
구징(具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내자시 직장(內資寺直長)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을 도와 공을 세웠으나 중종 즉위 후 벼슬을 사양하고 낙향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구찬록(具贊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퇴계(退溪)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 벼슬은 감정(監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구천(句踐)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제후. 재위 B.C.496~B.C.465. 아버지 합려(闔閭)의 복수를 준비하고 있던 오(吳) 나라의 왕 부차(夫差)와의 싸움에서 패배한 뒤 쓸개를 맛보며 국력을 키워 마침내 오 나라를 멸망시킴.
?~B.C.46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구천서원(龜川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박맹지(朴孟智)ㆍ표연말(表沿沫)ㆍ양관(梁灌) 등을 배향함.
17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구준(寇準)의 시집. 당시 유행하던 것과는 다른 시풍(詩風)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가 많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구충연(具忠淵)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징(具徵)의 아들로 도사(都事)ㆍ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충윤(具忠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구봉령(具鳳齡)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별좌(別坐)를 지냄.
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구치관(具致寬)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지고, 사후(死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됨. 영의정(領議政)등을 지냄.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치홍(具致洪)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의 동생.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우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구팔원(具八元)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 시정(寺正)을 지낸 구관(具灌)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구품관인법(九品官人法)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에서 처음 시행한 관리등용제도. 상서(尙書) 진군(陳羣)의 건의에 따라 제정한 것으로, 관직의 등급을 1품(品)에서 9품까지 구분하고 관품(官品)에 따라 대우를 달리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법제>제도
-
구필신(具弼臣)
조선 전기의 유학. 송인(宋寅)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