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세걸(世傑)@이세걸 - 이세걸(李世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익공신(佐翼功臣) 이극감(李克堪)의 아들이자 삼가 현감(三嘉縣監) 이수진(李守震)의 아버지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세걸(世傑)@채세걸 - 채세걸(蔡世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을 지낸 채자연(蔡子涓)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강원 감사(江原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걸(世傑)@나세걸 - 나세걸(羅世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나계종(羅繼宗)의 아들로, 창릉 참봉(昌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세검(世儉) - 소세검(蘇世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쌍봉유고(雙峰遺稿)》를 저술함.
1483~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세겸(世謙) - 어세겸(魚世謙)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로, 예종(睿宗)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봉해지고 좌의정 등을 지냄. 학식이 뛰어나고 문무를 겸비하였다 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세경(世卿)@조세경 - 조세경(趙世卿)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배천(白川).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조반(趙胖)의 아버지로, 호군(護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무신
-
세경(世卿)@이세경 - 이세경(李世卿)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돈(李克墩)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첨정(僉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수강(丁壽崗)과 시문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세경(世卿) - 이교익(李喬翼)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1858년(철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 등을 지냄.
1830~18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경(世經) - 심세경(沈世經)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6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세고(世高) - 안청(安淸)
중국 후한(後漢)의 역경승(譯經僧)ㆍ불교학자. 안식국(安息國)의 왕자로, 출가하여 아비담(阿毘曇) 연구와 선정(禪定)에 힘씀. 중국에서 불경을 한역함.
?~17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세곤(世鵾) - 주세곤(周世鵾)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문보(周文俌)의 맏아들이자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형으로, 젊은 나이에 죽음. 주세붕의 《무릉잡고(武陵雜稿)》에 그에 대한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세공(世功) - 오세공(吳世功)
고려 후기의 문인. 본관은 고창(高敞).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낸 오학린(吳學麟)의 손자이며 오세재(吳世才)의 형으로, 당시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문인
-
세공(世恭) - 어세공(魚世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봉해지고, 경학(經學)ㆍ역학(易學)ㆍ율학(律學)에 조예가 깊음.
1432~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세광(世匡) - 이세광(李世匡)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배(李克培)의 아들로, 1475년(성종 6) 친시(親試)에 급제하였으며, 도승지(都承旨)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세구(世球) - 이세구(李世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계장(李繼長)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세귀(世龜)@주세귀 - 주세귀(周世龜)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문좌(周文佐)의 아들이자, 이락당(二樂堂) 주이(周怡)의 아버지이며,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종형(從兄)으로,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세귀(世龜) - 유세귀(柳世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내고, 1527년(중종 22) 상진(尙震)ㆍ송순(宋純) 등 24인과 계축갑계(癸丑甲契)를 만듦.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규(世奎) - 김세규(金世奎)
조선 후기의 문인. 정개청(鄭介淸)의 문인(門人)으로, 정경세(鄭經世)ㆍ이수광(李睟光) 등과 교유하고, 저서에 《우송집(友松集)》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문사>문인
-
세균(世鈞) - 김세균(金世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김익수(金益壽)의 아버지로, 1506년(중종 1년)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참의(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세균(世鈞)@장세균 - 장세균(張世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단양(丹陽).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장오상(張五常)으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