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세련(世璉) - 신세련(辛世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노모의 봉양을 위해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세렴(世濂) - 김세렴(金世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군수 김극건(金克鍵)의 아들로,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는 자를 탄핵하다가 유배됨.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재기용되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내며 《근사록(近思錄)》ㆍ《소학(小學)》등을 간행함.
1593~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세룡(世龍) - 고조(高祖)@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 후조(後趙)의 제1대 황제. 재위 319~333. 유능한 통치자로 알려짐.
274~3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륜(世綸) - 강세륜(姜世綸)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1783년(정조 7)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성 부사(鍾城府使)ㆍ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761~18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세린(世麟) - 유세린(柳世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대사간(大司諫) 유헌(柳軒)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성균관 유생으로서 조광조(趙光祖) 등을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세린(世麟)@정세린 - 정세린(鄭世麟)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영남(嶺南)에서 거주했고, 시문에 뛰어남.
?~1486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린(世麟)@이세린 - 이세린(李世麟)
조선 전기의 문신. 정대원(鄭大源)의 장인으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그의 제문(祭文)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세림(世琳)@이세림 - 이세림(李世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계장(李繼長)의 아들이자 부사(府使) 이세구(李世球)의 동생으로,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세림(世琳)@조세림 - 조세림(趙世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직산(稷山). 승의부위(承義副尉) 조원종(趙元鍾)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문사>유학
-
세림(世琳) - 송세림(宋世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연손(宋演孫)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 저서로 《어면순(禦眠楯)》이 있음.
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세림(世霖) - 심세림(沈世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심극인(沈克仁)의 아들로, 1538년(중종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세림(世霖)@윤세림 - 윤세림(尹世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지숭(尹之崇)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사헌 유운(柳雲)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희생된 조광조(趙光祖) 등의 억울함을 상소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세말(世末) - 박세말(朴世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세매당(世梅堂) - 양돈(楊墩)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인. 1498년(연산군 4)에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사표(師表)가 됨.
1461~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인명>문사>문인
-
세명(世明)@최세명 - 최세명(崔世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진사.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명(世明) - 성세명(成世明)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임(成任)의 아들로,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를 수찬하고,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냄.
1447~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세명(世明)@정환의아버지 - 정세명(丁世明)@정환의아버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딸이 연산군의 세자빈(世子嬪)에 간택되고, 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ㆍ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등을 지냄.
1468~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세명(世明)@정선의아버지 - 정세명(丁世明)@정선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정석필(丁碩弼)의 아들이며, 정선(丁璿)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무신
-
세명(世鳴) - 유세명(柳世鳴)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원지(柳元之)의 문인으로, 교리(校理) 시절에 송시열(宋時烈)ㆍ김수항(金壽恒)ㆍ김석주(金錫胄)ㆍ민정중(閔鼎重)을 엄벌해야 한다는 차자(箚子)를 올렸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역임함.
163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세묘(世廟)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