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세설신서(世說新書) -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의경(劉義慶)이 편찬한 일화집(逸話集). 후한(後漢) 말부터 동진(東晉)까지의 명사(名士)들의 생활과 언행 등을 기록한 책으로, 36편(篇) 1000여 항목으로 구성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세성(世誠) - 원제(元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552~554. 아버지 무제(武帝)가 죽자 형제들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름. 본래 독서와 문학을 좋아하여 《금루자(金樓子)》 등의 저서를 편(編)하기도 함.
508~55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성(歲星) - 목성(木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동방(東方)을 상징하였으며, 하늘 전체를 십이차(十二次)로 나누고 목성이 있는 성차(星次)를 그해의 기년(紀年)으로 삼았던 데서 ‘세성(歲星)’으로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세수(歲首)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세숙(世叔)@조세숙 - 조세숙(曹世叔)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반고(班固)의 여동생인 반소(班昭)의 남편으로 요절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세숙(世叔) - 유길(游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대부. 자산(子産)을 집정시켜 인정(仁政)을 베풀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세순(世純) - 성세순(成世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충달(成忠達)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이 형벌을 남발하자 간관(諫官)으로서 과감하게 직언함. 성절사(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3~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세신(世臣) - 우세신(禹世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우엄(禹淹)의 아들로, 1552년(명종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부시 정(宗簿寺正) 등을 지냄.
1518~15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세심(洗心) - 민진원(閔鎭遠)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우참찬을 지낸 민진후(閔鎭厚)의 동생으로, 소론을 배격했던 노론의 거두.
1664~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세심경(洗心經)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세심당(洗心堂)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세아(洗兒)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세양(世襄) - 박강(朴薑)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 박은(朴訔)의 아들로, 대호군(大護軍) 등 여러 관직을 거치고,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세양(世讓)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세언(世彦) - 김세언(金世彦)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장흥 부사(長興府使)의 아들로,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한 기록이 《추강집(秋江集)》에 〈조대기(釣臺記)〉로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세업(世業) - 김세업(金世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김하(金碬)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세연(世延) - 박세연(朴世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의(文義).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박윤경(朴潤卿)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세연(世涓) - 하세연(河世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구(金絿)의 《자암집(自庵集)》에 그에게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
-
세영(世榮) - 박세영(朴世榮)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선조(宣祖) 때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박대립(朴大立)의 부친.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묘지명(墓誌銘)과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영(世瑛) - 탁세영(卓世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삼가 현령(三嘉縣令) 탁경지(卓敬志)의 아들로, 탁신지(卓愼志)에게 출계함. 탁지수(卓持守)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