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세영(世英)@채세영 - 채세영(蔡世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첨정(僉正) 채자연(蔡子涓)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며, 천문(天文)ㆍ의약(醫藥)ㆍ중국어(中國語)에 정통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영(世英)@탁세영 - 탁세영(卓世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련대장(訓鍊大將) 탁순창(卓順昌)의 맏아들이고, 탁세형(卓世亨)의 형이며, 탁홍례(卓弘禮)ㆍ탁홍지(卓弘智)ㆍ탁홍인(卓弘仁)ㆍ탁홍주(卓弘柱)의 아버지. 통덕랑(通德郞)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세영(世英)@양세영 - 양세영(楊世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첨정(僉正) 양면(楊沔)의 아들로, 상서원 부직장(尙瑞院副直長) 등을 지냄.
1485~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세영(世英) - 중준(重俊)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거사(居士). 김종직(金宗直)에게 자(字)를 지어받기를 청했는데, 그에 관한 자설(字說)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세영(世英)@조세영 - 조세영(趙世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지부(趙之孚)의 아들. 학문이 널리 알려져 1535년에 조사수(趙士秀) 등과 함께 사유록(師儒錄)에 올랐고, 사성(司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옥(世玉) - 이세옥(李世玉)
조선 전기의 유학. 자신의 저서인 《색암유고(嗇庵遺稿)》에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이자(李耔)의 행적을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옹(世蓊) - 박세옹(朴世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세용(世用) - 사세용(史世用)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유격장군(游擊將軍) 모국기(茅國器)의 참모가 되어 참전하였으며, 일본과의 강화(講和)를 주선하기 위해 왜적의 진영에 왕래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세우(世佑) - 이세우(李世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강직하고 사심 없는 성품으로 성종의 신임을 받았으며,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역임함.
1449~149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세우(世愚) - 김세우(金世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암행어사(暗行御史) 김규(金虯)의 아버지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적성현(赤城縣)의 명관으로 기록됨.
1484~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세우(世祐) - 오세우(吳世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보성(寶城). 함경도 병마수군우후(兵馬水軍虞侯)를 지낸 오자영(吳自瑩)의 아들로, 감역관(監役官)ㆍ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우(世虞) - 조세우(曺世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고양 군수(高陽郡守)를 지낸 조척(曺倜)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후 이언적(李彦迪)ㆍ송희규(宋希奎) 등과 교유함.
14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우(世遇) - 오세우(吳世遇)
조선 전기의 문인.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가 오세우(吳世遇)의 작품을 보고 지어 준 시가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세욱(世郁) - 문세욱(文世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령(開寧). 현감(縣監) 문승수(文承洙)와 학유(學諭) 문승사(文承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개령 , 인명>문사>유학
-
세운(世雲) - 정세운(鄭世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민왕을 숙위하고 기철(奇轍)을 처단하는 데 앞장서며 홍건적(紅巾賊)을 물리치는 등 큰 공을 세워 수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김용(金鏞)의 음모로 인해 안우(安祐) 등에게 살해됨.
?~136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세웅(世雄) - 정세웅(鄭世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3(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냄. 이천(利川)과 여주(驪州)에 수령(守令)로 있을 때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시들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세원(世元) - 이세원(李世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생원(生員) 이종경(李宗慶)의 아버지.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세원(世遠) - 김맹권(金孟權)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가 되어 세종의 신임을 받아 왕세손(王世孫)의 보필을 부탁받았으나,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찬탈하자 고향으로 돌아감.
?~150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학자
-
세원(勢遠) - 최호(崔灝)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득하(崔得河)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세유(世幼) - 곽세유(郭世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미(海美). 선조(宣祖) 때 부안 현감(扶安縣監)을 지낸 곽기수(郭期壽)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