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상례(士喪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사상보(師尙父)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사서(沙西) - 김식(金湜)@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량과(賢良科)에 장원 급제하고,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 선조(宣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482~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서도장(四書圖章) - 사서장도(四書章圖)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인 정복심(程復心)이 주자(朱子)의 사서집주(四書集註)를 참고하여 도식(圖式)을 만들고 자기의 뜻을 덧붙여 만든 책. 22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성리자의(四書性理字義) - 자의상강(字義詳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순(陳淳)의 저서. 성리학의 개념과 범주를 해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자의(四書字義) - 자의상강(字義詳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순(陳淳)의 저서. 성리학의 개념과 범주를 해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집주(四書輯註) - 사서집주(四書集註)
중국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사서(四書)를 주석(注釋)한 책. 《대학장구(大學章句)》ㆍ《중용장구(中庸章句)》ㆍ《논어집주(論語集注)》ㆍ《맹자집주(孟子集注)》를 통칭(統稱)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총 19권으로 알려짐.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석(師錫) - 홍사석(洪師錫)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종 때 사신으로 세 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경상도 처치사(慶尙道處置使)로 재직할 때 왜구 정벌에 나섰다가 참패하여 관작을 추탈당하고 유배됨.
?~14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무신
-
사석(師錫)@이사석 - 이사석(李師錫)
중국 당(唐) 나라의 유학. 한유(韓愈)의 친구인 이관(李觀)의 아들로, 한유가 이사석에게 보낸 편지 ‘답이수재서(答李秀才書)’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사선(士愃) - 나사선(羅士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진원 현감(晉原縣監)을 지낸 나질(羅晊)의 아들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사선성(謝宣城) - 사조(謝脁)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ㆍ시인. 선성 태수(宣城太守)를 지냈으며, 영명체(永明體)의 대표적인 작가로,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대소사(大小謝)로 불리고, 사영운ㆍ사혜련(謝惠連)과 더불어 삼사(三謝)로 일컬어짐.
464~49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섭(士燮) - 범문자(范文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경공(景公) 때의 대부(大夫). 도공(悼公)의 패업을 도운 범선자(范宣子)의 아버지.
?~B.C.57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사성(士晟) - 손사성(孫士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문과에 급제하여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냈으며,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성(士誠) - 이매(李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해수(李海壽)의 아들로, 봉사(奉事)를 지냄.
?~15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사성(士誠)@정사성 - 정사성(鄭士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집경전 참봉(集慶殿參奉)ㆍ내자시 주부(內資寺主簿)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낸 뒤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힘씀.
1545~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성(師聖)@후중량 - 후중량(侯仲良)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이천(伊川) 정이(程頤)의 문인으로,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에게 배워 학문이 크게 진전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성(師聖)@윤희주 - 윤희주(尹希周)
조선 전기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과 같이 자란 동갑내기 죽마고우(竹馬故友).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사성(師聖) - 유여주(兪汝舟)
조선 전기의 유학. 중종(中宗) 때 현량과(賢良科)에 추천을 받았으나 급제하지 못하고,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비인(庇仁)에 은거하여 임벽당(林碧堂)을 짓고 독서와 서예로 일생을 마침.
148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비인 , 인명>문사>유학
-
사성(師聖)@이희순 - 이희순(李希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악(安岳)으로, 참판(參判) 이평(李枰)의 아들. 남원 부사(南原府使)ㆍ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連累)되어 화를 당함.
1464~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관인>문신
-
사성(師聖)@임자 - 임자(任孜)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관직은 광록시 승(光祿寺承)에 이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